청와대 전경. 한겨레 자료사진
아베 ‘연내 해결’ 부인 취지 발언
청 “합의문에 충실한 것일뿐”
청 “합의문에 충실한 것일뿐”
청와대가 ‘가능한 한 조기에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타결하기 위한 협의를 가속화’한다는 한-일 정상회담 발표와 관련해, 일본과 시각차가 없다는 사실을 거듭 강조하고 나섰다. 한국은 ‘연내 타결’에 방점을 찍고 있지만, 아베 신조 총리가 이를 부인하는 듯한 발언을 이어가자 서둘러 진화에 나선 것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5일 “일본 쪽과 (조속한 합의에 대해) 이견이 있는 것은 전혀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다니가키 사다카즈 일본 자민당 간사장은 전날 아베 총리와 면담한 뒤 일본 기자들과 만나 총리가 “(위안부 문제의 연내 해결 문제에 대해) 연내를 목표로 노력을 하지만, 이런저런 일이 있어 할 수 없게 되면 ‘기한 내에 (타결을) 하지 못했다’는 문제가 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 전한 바 있다.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2일 정상회담에서 “올해가 한-일 국교 50주년이라는 전환점에 해당하는 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가능한 한 조기에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타결하기 위한 협의를 가속화”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청와대 쪽은 ‘한-일 국교 50주년을 염두에 두고’라는 문구가 사실상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의미있는 진전이 연내에 이뤄질 것이라는 의미라고 설명해왔다. 청와대 관계자는 “합의 내용 중 ‘국교 정상화 50주년’이라는 문안이 있는데, 이를 두고 연내냐 아니냐를 물어보면 (연내가) 아니라고 답할 수밖에 없다”며 “아베 총리의 발언은 합의된 문안에 충실한 것뿐”이라며 크게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앞서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양국간 진행중인 국장급 협의 등에 일본 정부가 성의 있는 자세로 임해서 조속한 시일 내에 이 문제가 해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자민당 외교부회도 이날 정부로부터 2일 진행된 한-일 정상회담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 이에 대해 자민당 내부에선 일본 정부의 방침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에서 1965년 한일협정으로 이 문제가 해결됐지만 전시하 여성의 인권 문제라는 점, 일-한 관계의 발전을 위해 장애를 제거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추가 조처를 생각해 볼 수 있다’는 쪽으로 바뀐 데 대해 적지 않은 비판 의견이 이어졌다.
최혜정 기자, 도쿄/길윤형 특파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