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 청와대사진기자단
소녀상 이전 문제와 졸속·이면협상 의혹 입장 밝혀
청와대는 31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 협상과 관련해 “소녀상 철거를 전제로 돈을 받았다는 등 사실과 전혀 다른 보도와 사회혼란을 야기하는 유언비어는 위안부 문제에 또 다른 상처를 남게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날 오전 춘추관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와 관련해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위안부 협상 타결 이후 불거진 소녀상 이전 문제 및 졸속·이면협상 의혹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을 밝혔다.
김 수석은 “정부는 위안부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 인정과 공식적인 반성, 사죄를 받아내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했다. 그리고 가능한 범위에서 충분한 진전을 이뤘다는 판단으로 합의를 했다”며 “지금부터 중요한 것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재단을 조속히 설립하여,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삶의 터전을 일궈드리는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이와 함께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일본의 법적 책임 인정 여부와 ‘최종적·불가역적 해결’과 관련해서도 적극 ‘방어’에 나섰다. 김 수석은 “정부는 총성 없는 전쟁터와 같은 외교 현장에서 우리의 국익을 지키기 위해 벼랑 끝에 선 심정으로 임해왔다”며 “그렇게 정부가 최선을 다한 결과에 대해 ‘무효’와 ‘수용불가’만 주장한다면, 앞으로 어떤 정부도 이런 까다로운 문제에는 손을 놓게 될 것이며 민간단체나 일부 반대하시는 분들이 주장하는 대로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졸속협상을 비판하는 시민사회를 겨냥해 “실제로 그동안 민간 차원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문제는 한발짝도 나가지 못했다”며 “마치 정부가 잘못 협상한 것 같이 여론을 조성해 나가는 것은 결코 얼마 남지 않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생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또 “정부의 이런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시고 어렵게 풀린 위안부 문제를 다시 원점으로 돌리고자 하신다면, 이 문제는 24년전 원점으로 되돌아가게 되고, 정부로서도 할머니들 살아생전에 더 이상 어떻게 해 볼 여지가 없게 될 것이라는 점을 헤아려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최근 여론의 역풍과 반발의 원인을 언론의 ‘잘못된’ 보도 탓으로 돌리기도 했다. 김 수석은 “사실관계가 아닌 것을 보도해서 감정을 증폭시키는 것은 양국 관계 발전과 어렵게 진척시켜온 문제의 해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