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 강조 쟁점법안 강행 비쳐
야3당 “총선 민의에 대한 인식 안이”
야3당 “총선 민의에 대한 인식 안이”
박근혜 대통령은 18일 “앞으로 국민의 민의를 겸허히 받들어서 국정의 최우선 순위를 민생에 두고 사명감으로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과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마무리하도록 하는 데 혼신의 노력을 다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이 4·13 총선 결과에 대해 직접 입을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지만 ‘오만한 정권 심판’으로 풀이되는 참패의 크기에 견줘, 박 대통령은 자세를 최소한으로만 낮췄다는 비판이 나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이번 선거의 결과는 국민의 민의가 무엇이었는가를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며 이렇게 밝혔다. 박 대통령은 또 “20대 국회가 민생과 경제에 매진하는, 일하는 국회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정부도 새롭게 출범하는 국회와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말부터 꾸준히 ‘야당 심판론’을 제기해왔으나, 총선 결과 ‘여소야대’ 구도가 짜이면서 야당과의 협력 필요성을 내비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경제·안보 위기를 내세워 ‘구조개혁’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는 등 기존 정책을 변함없이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세계 경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손놓고 있다가는 저성장의 소용돌이에 같이 빨려들어갈 수 있다”며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경제활성화와 구조개혁을 일관성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 파행의 원인을 제공한 노동관계법 등 쟁점법안과 노동·공공·금융·교육 등 4대 구조개혁 강행 방침을 재확인한 것이다.
이에 대해 이재경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박 대통령이) ‘국민의 민의가 무엇인지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을 뿐 단 한마디의 반성도 없었다. 박 대통령은 국민의 엄정하고 준엄한 질타에도 자신의 생각을 바꾸고 싶지 않은 것 같다”고 비판했다. 국민의당과 정의당도 “총선 민의에 대한 인식이 안이한 것 같다”, “대통령의 반성 없는 안일한 인식은 매우 실망스럽고 위험하기까지 하다”고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