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11일 ‘이르면 다음주 개각 가능성이 있다’는 일부 언론 보도를 부인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인사권자는 문재인 대통령이므로) 제가 100% 장담하지는 못하지만,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2월에는 개각이 없는 것으로 안다”며 “어떤 언론에서는 개각 대상에 이낙연 총리까지 포함했던데 그럴 가능성은 제로”라고 말했다.
청와대가 김부겸(행정안전)·김현미(국토교통)·김영춘(해양수산)·도종환(문화체육관광) 장관 등 내년 4월 총선 출마 가능성이 높은 더불어민주당 현역 의원 출신 장관들의 교체를 중심으로 중폭 개각을 준비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이날 청와대 관계자의 강한 부인은 개각 자체가 아닌 개각 시기에 대한 부인으로 봐야 할 것 같다. 이는 2차 북-미 정상회담(27~28일·베트남)과 그 후속 조처에 우선 집중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뜻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개각이 임박했다는 보도가 이어질 경우 해당 부처의 분위기가 흐트러질 우려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복수의 청와대 관계자들은 최근 <한겨레>와 만나 “2월 말께 열릴 2차 북-미 회담이 끝날 때까지 개각은 없을 것”이라며 “언제까지 개각을 마친다는 식의 속도전 개념으로 개각을 준비하고 있지 않다. 3월로 넘어갈 수 있다”고 밝혀왔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