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현장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국무회의에서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근본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핵심기술의 자립화에 속도를 높여야한다”며 제조업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할 것을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국무회의 들머리발언을 통해 “오늘 국무회의는 아무도 흔들 수 없는 강한 경제를 만들겠다는 비상한 각오와 의지를 담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열리게 됐다”면서 “미래형 로봇분야의 로봇 미디어 연구소나 차세대 반도체 연구센터가 있는 과학기술 현장에서 국무회의를 여는 그 의미를 각별하게 여겨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는 경제강국을 위한 전략과제이다. 한일 관계 차원을 뛰어넘어 한국 경제 100년의 기틀을 세우는 일이다. 소재 부품 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는 제조업을 혁신하고 제조 강국으로 재도약하는 길이다”며 과학기술 현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차세대 반도체 연구소를 둘러본 뒤 연구원들을 격려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이어 문 대통령은 “소재부품장비 생산 기업은 전체 제조업 생산과 고용의 절반을 차지한다. 대부분 중소 중견기업이다”며 “소재부품장비산업을 키우는 것은 곧 중소 중견기업을 키우는 것이고 대중소기업 협력하는 산업생태계를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는 장기간 누적돼 온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 지속적인 성장기반을 만드는 일이다. 또한 세계 경제와 교역환경의 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 전략”이라며 국무위원들을 독려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가 추진하는 △향후 3년간 5조원 연구개발 예산 투입 △기업간 협력관계 구축 △실증양산 테스트베드 확충 등을 다시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특정국가 의존도가 높은 25개 핵심품목에 대한 기술개발에 착수했다. 반도체 분야에서 소재의 국산화가 가시화되고 있다”며 “정부는 과거와는 다른 접근과 특단의 대책으로 이같은 긍정적 변화에 속도를 더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