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가동이 중단된 지 6년이 되는 날인 10일,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개성공단(남북경협) 피해보상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개성공단이 멈춘 지 6년이 되는 날인 10일,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개성공단 피해보상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다. 정부는 개성공단 기업에 271억원을 추가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의 이재철 회장 등은 청와대 앞 회견에서 △“개성공단 재개를 위한 실효성 있는 행동” △“기업들의 피해 대책 즉각 마련” △“남북경협의 법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개성공단(남북경협) 피해보상을 위한 특별법’ 마련”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아울러 “6년 동안 인내로 버텨온 억울한 개성 기업들이 더는 죽지 않게 살려달라”는 내용의 ‘대통령 호소문’을 전달했다.
정부는 이인영 통일부 장관 주재로 10일 아침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24차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를 열어 남북경협 중단과 코로나19에 따라 이중고를 겪고 있는 개성공단 기업에 271억원(특별대출 232억원, 기업운영관리경비 무상지원 39억원)을 남북협력기금에서 지원하기로 의결했다. 연합뉴스
이에 앞서 정부는 이인영 통일부 장관 주재로 이날 아침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24차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를 열어 남북경협 중단과 코로나19에 따라 이중고를 겪고 있는 개성공단 기업에 271억원(특별대출 232억원, 기업운영관리경비 무상지원 39억원)을 남북협력기금에서 지원하기로 의결했다. 기업은 특별대출(각 3억~5억 한도) 또는 운영비 무상지원(각 1500만~4500만원 한도) 가운데 한 가지를 선택하면 된다고 통일부 당국자는 말했다.
이인영 장관은 “마침 오늘(10일)은 개성공단이 문을 닫은 바로 그날”이라며 “개성공단 문이 열리기만 기대한다는 간절한 기업인들의 심정에 이번 지원이 조금이라도 위로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관련 기업들은 경영은 물론 생계 어려움까지 견디고 코로나19가 지속되며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정부는 개성공단 재개 여건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정부는 금강산·경협·교역 기업에도 특별대출(136억원) 또는 기업운영관리경비 무상지원(82억원)의 형식으로 모두 218억3천만원을 남북협력기금에서 지원하기로 의결했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