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14일 아침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 마련된 후보자 사무실로 첫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통일부는 국방부, 외교부나 정보기관과 달리 기본적으로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남과 북의 관계를 잘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는 부서”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의 첫 통일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은 14일 “윤석열 정부에서 (남북관계의) 새로운 모멘텀을 만들어 대화를 시작하고 남북관계의 의미 있는 진전, 획기적 진전이 이뤄지도록 초석이라도 놓겠다는 각오로 지명을 수락하게 됐다”고 밝혔다. 권 의원은 또 “일단은 대화가 시작돼야 개선의 방향이 잡힐 수 있으니 어떻게 그런 모멘텀을 하루빨리 만들어낼지 고민하고 있다”고도 했다.
권영세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이날 아침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 마련된 후보자 사무실로 첫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통일부는 국방부, 외교부나 정보기관과 달리 기본적으로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남과 북의 관계를 잘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는 부서”라며 이렇게 말했다. 권 후보자는 그러면서도 “지금 초기에 통일부가 해야 할 일이 생길 상황을 만들어내는 모멘텀을 만들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상대가 대화에 나오지 않을 때 우리가 끊임없이 당근만 던져줄 수 있는 게 아니고 그런 면에서 어떻게 모멘텀을 만들지 고민이 많다”고 덧붙였다. 이어 ‘장관 취임 뒤 북한에 직접 대화를 제의할 뜻이 있냐’는 질문에 “대화 요청은 당연히 할 것”이라고 답했다.
권 후보자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등 현 정부의 대북정책을 어떻게 평가하냐’는 질문에 “이전 정부의 대북정책에 좋은 요소가 있으면 얼마든 채택하고, 다만 우리가 받아들이기 불편한 부분이 있다면 놓고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른바 ‘대북전단살포금지법’과 관련해선 “대북전단은 기본적으로 자유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며 “그런 부분을 법으로 규제하는 건 저는 통일부 관점이 아니라 헌법적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봐서 반대해왔고 지금도 그렇다”고 말했다.
‘비핵화와 남북관계 개선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건가’라는 질문에, 권 후보자는 “비핵화가 진전되지 않은 상황에서 남북관계만 정상화될 순 없다”며 “그건 이인삼각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이 핵무기가 있고 핵 개발을 계속 고도화하는 상황에서 남북관계 정상화는 어렵다고 본다”며 “핵 문제 위협이 해소되는 방향으로 진전되는 게 남북관계의 정상화”라고 강조했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