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북 무인기, 공격용 아니라지만…군 대응에 커지는 우려

등록 2022-12-28 05:00수정 2022-12-28 13:56

군, 무인기 탐지 능력 갖췄으나 무력화 능력은 아직
27일 오후 서울역 대합실에 설치된 티브이(TV)에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관련 뉴스가 보도되고 있다. 연합뉴스
27일 오후 서울역 대합실에 설치된 티브이(TV)에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관련 뉴스가 보도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6일 북한 무인기의 수도권 영공 침범을 계기로 북한군의 무인기를 활용한 실제 공격 가능성과 우리 군의 대응 체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27일 군 안팎의 설명을 종합하면, 북한은 주력 무인정찰기로 ‘방현’을 300여대 운용 중이며 러시아제 공격무인기 수십대를 실전 배치했다. 또 정찰과 공격 임무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무인기인 ‘두루미’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안팎에서는 한국에 견줘 공군력이 열세인 북한이 전력 공백을 메우려고 최소 400대에서 최대 1천대까지 정찰·공격용 무인기를 운용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북한이 무인기를 운용하는 주된 목적은 대남 감시·정찰이라고 한다. 군당국은 북한 무인기 중 실질적 위협이 되는 것은 공격용 무인기인데, 현재 군의 탐지·타격 자산으로 대응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군 관계자는 “북한 무인기는 사전에 입력된 좌표와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초보적 기술 수준이라 원격 조정이나 자율화 같은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한국과 미국 무인기와는 기술 격차가 크다”고 말했다.

지난 26일, 수도권 영공을 침범한 북한 무인기 5대는 정찰용 소형 무인기다. 특히 이 정찰 무인기의 성능과 관련해, 지난 26일 서울 상공에 들어온 북한 무인기가 용산 대통령실을 촬영했는지 여부를 두고 논란이 일었다. 합동참모본부는 “용산 상공에 무인기 비행 흔적(레이더 포착 항적)이 없다”며 부인했다. 하지만 서울 은평구 상공까지 남하한 북한 무인기가 고도 3㎞, 시속 100㎞ 속도로 비행한 점을 고려하면, 은평구 상공에서도 용산 대통령실 방향 촬영이 가능하다는 말이 나온다. 다만 그동안 북한 무인기들의 경우, 부착된 사진기 성능이 높지 않아 구글어스나 포털 서비스의 지도보다 해상도가 떨어졌다고 한다.

하지만 북한이 무인기 기술을 계속 발전시키고 있어, 이런 소형 무인기에 화학·생물 무기나 폭탄을 달아 한국을 공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런 주장은 2014년 한국 야산 곳곳에서 추락한 북한 무인기들이 발견됐을 때도 제기된 바 있다. 하지만 군당국이 추락한 북한 소형 무인기 3대를 복원해 비행시험을 한 결과, 북한 무인기에는 800g 안팎의 수류탄 1개 무게를 달 수 있다는 시험 결과가 나왔다.

현재 한국군의 대공방어체계는 북한 전투기 탐지·격추에 초점을 맞춰 짜여 있다. 하지만 26일 영공을 침범한 정찰용 무인기는 3m 이하의 작은 크기라, 현재 군의 탐지·타격 능력으로 대처하기 어렵다는 게 군당국의 설명이다. 이런 소형 무인기는 전투기보다 무척 작고 비행 고도가 낮아서 기존 레이더로 포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무인기 기체에서 내는 열이 적어 육상의 열상감시장비(TOD)로도 포착이 어렵다. 이 때문에 2017년까지는 북한 무인기가 영공을 침범해도 탐지·식별조차 하지 못했고, 2018년 국지방공레이더를 배치한 뒤에야 탐지가 가능해졌다.

소형 무인기는 미사일과 로켓 등 레이더에 의존하는 기존 타격 무기로는 명중이 어렵다. 지난 26일 전투기와 공격헬기, 저속 항공기인 KA-1 등 20대를 동원하고도 무인기 격추에 실패한 것도 이 때문이다.

무인기 무력화 대책으로는 전파를 교란하는 재밍 등 물리적 파괴 없이 무력화를 뜻하는 ‘소프트킬’과, 기관총·미사일로 격추시키거나 그물망·그물총으로 무인기를 포획하거나 전자기 펄스, 레이저 등을 발사하는 등의 ‘하드킬’ 방식이 있다. 주한미군은 전북 군산기지 8전투비행단에 소형 무인기를 탐지·식별하는 이동식 레이더와 연동해 무인기에 방해 전파를 쏘는 드론 버스터 소총을 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전파를 방사해 소형 무인기의 경로를 이탈시키거나 추락을 유도하는 재밍 방식은 수도권 같은 인구밀집지역에서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함부로 사용하면 시민의 핸드폰이나 기업 전자통신장비를 먹통으로 만들거나 민항기 안전을 위협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이 “친구”인가…경호차장이 무너뜨린 경호의 정석 1.

윤석열이 “친구”인가…경호차장이 무너뜨린 경호의 정석

“내 친구 윤석열” 울먹인 권성동…“부하라 생각할 텐데” 2.

“내 친구 윤석열” 울먹인 권성동…“부하라 생각할 텐데”

체포된 내란수괴 이렇게 하면 ‘빼박’ ○○ 선고 3.

체포된 내란수괴 이렇게 하면 ‘빼박’ ○○ 선고

나경원, 트럼프 취임식 가서 ‘극우 유튜버 음모론’ 퍼뜨리나 4.

나경원, 트럼프 취임식 가서 ‘극우 유튜버 음모론’ 퍼뜨리나

여야 ‘내란 특검법’ 협상 진통…민주 “협의 어려워도 오늘 내 의결” 5.

여야 ‘내란 특검법’ 협상 진통…민주 “협의 어려워도 오늘 내 의결”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