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군 합동조사단이 20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천안함 침몰의 ‘결정적 증거물’이라며 공개한 어뢰의 프로펠러를 포함한 추진모터와 조종장치.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천안함 합조단 ‘북 잠수정 어뢰 공격’ 결론
“결정적 증거는 ‘1번’이라 쓰인 손글씨
백령도 초병, 100m높이 백색섬광 목격
북 연어급 잠수정, 사건 전후 기지이탈”
* 북한산 : 21인치 중어뢰 CHT-02D
“결정적 증거는 ‘1번’이라 쓰인 손글씨
백령도 초병, 100m높이 백색섬광 목격
북 연어급 잠수정, 사건 전후 기지이탈”
* 북한산 : 21인치 중어뢰 CHT-02D
해군 천안함 침몰 사건을 조사한 민·군 합동조사단(합조단)은 20일 천안함이 ‘북한의 연어급 잠수정(130t)이 쏜 어뢰에 피격돼 두 동강 나 침몰했다’는 조사 결과를 공식 발표했다.
윤덕용 민간 쪽 합조단장은 이날 북한 어뢰 공격의 ‘결정적 증거물’로 백령도 사고 해역 근처에서 쌍끌이 어선이 건져올린 어뢰 추진동력부인 프로펠러를 포함한 추진모터와 조종장치를 공개하며, “관련 증거들을 종합해 볼 때 이 어뢰는 북한의 소형 잠수함정으로부터 발사됐다는 것 이외에 달리 설명할 수가 없다”고 밝혔다.
윤 단장은 “지난 15일 폭발 지역 인근 해저에서 수거된 5개의 순회전 및 역회전 프로펠러, 추진모터와 조종장치는 북한이 해외로 무기를 수출하기 위해 만든 북한산 무기소개 책자에 나와 있는 시에이치티(CHT)-02디(D) 어뢰의 설계 도면과 정확히 일치한다”며 “이 어뢰의 후부 추진체 내부에서 발견된 ‘1번’이란 한글 표기는 우리가 확보하고 있는 또다른 북한산 어뢰의 표기 방법과도 일치한다”고 말했다. 북한 설계도면의 상하 날개와 방향타의 크기 및 구멍 숫자 등이 수거된 어뢰 부품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거된 시에이치티-02디 어뢰는 음향항적 및 음향 수동추적 방식을 사용하며, 길이 7.35m, 지름 53.4㎝, 탄두중량 250㎏, 총중량 1700㎏, 사거리 10~15㎞인 중어뢰다.
윤 단장은 “(천안함을 침몰시킨) 폭발 위치는 가스터빈실 중앙으로부터 좌현 3m, 수심 6~9m가량”이라고 말했다.
미국·오스트레일리아·캐나다·영국·스웨덴 등 5개국이 참여한 합조단의 다국적 연합정보분석티에프(TF) 단장을 맡은 황원동 국방정보본부장은 “사용된 어뢰의 종류와 작전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한의 연어급(130t) 잠수정이 운영됐을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황 본부장은 “서해 북한 해군기지에서 운용되던 상어급(300t급) 잠수함 1척과 연어급(130t급) 잠수정 1척이 천안함 공격 2~3일 전에 기지를 이탈했다가 천안함 공격 2~3일 뒤 기지로 복귀한 것을 확인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북한 잠수정이) 수중으로 서해 외곽을 우회 침투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치명적인 공격을 위해 야간에 목표를 식별하고 근접해서 공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합조단은 천안함 침몰 원인에 대해 가스터빈실 좌현 하단부에서 감응어뢰의 강력한 수중 폭발로 선체가 절단돼 침몰했다고 밝혔다. 합조단은 이런 판단의 근거로 천안함 침몰 해역에서 수거된 결정적 증거물(어뢰 프로펠러 등)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꺾인 선체의 변형상태, 관련자 진술, 주검 검안 결과, 지진파 및 공중음파 분석 등을 제시했다.
박정이 군쪽 합조단장은 “이날 발표된 모든 사실에 참여한 외국 조사단 모두가 견해가 일치했다”고 말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백령도 사고 해역에서 쌍끌이 어선이 건져 올린 이 어뢰의 추진모터 뒤편에는 ‘1번’이라는 한글 고유번호가 적혀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이슈천안함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