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남북이 종전 문제를 논의하고 있으며 이를 환영한다고 한 데 대해 남북이 4·27 정상회담에서 이와 관련한 합의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9일 앞으로 다가온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 남북관계 발전을 논의한 뒤에 내놓을 정상들의 선언에서 1953년 이후 휴전협정 이후 전쟁을 쉬고 있는 상태에 놓여있던 한반도가 종전협정과 평화체제로 나아갈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꼭 종전이라는 표현이 사용될지는 모르겠으나 남북간에 적대행위를 금지하기 위한 합의를 포함시키길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상대방이 있어서) 우리 의지만으로 할 수 있을지 조심스러워 확답을 드리기는 어렵지만, 그러한 표현이 이번 정상간 합의문에 어떤 형태로든지 반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남북간에는 이미 1992년에 불가침 합의를 한 적이 있다. 과거 합의한 내용을 토대로 최근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얘기한 내용까지 선언에 담을 수 있는 방안을 여러가지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지명자(미 중앙정보국 국장)의 방북을 알고 있었는지에 관한 기자의 질문에 “한-미 간에는 모든 정보를 공유하면서 긴밀희 헙의하고 있다고만 말씀 드리겠다”고 답했다.
앞서, <워싱턴 포스트>는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지명자가 부활절 주말(3월31일~4월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특사로 극비리에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났다고 보도했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