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1 서울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 준비위원회’ 제5차 회의의 모습. 외교부 제공
코로나19 오미크론 바이러스의 등장에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운 가운데 정부가 준비해온 대규모 국제 외교 행사도 이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의 여파로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안은주 외교부 부대변인은 30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빠른 확산세를 보임에 따라서 우리 정부가 12월 중에 개최를 준비하던 행사는 전반적으로 개최를 재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개최 방식 등을 재검토하는 행사는 12월 7~8일 ‘유엔 평화유지(PKO) 장관회의’와 9~10일 ‘한-아프리카 포럼’ 등이다.
유엔 평화유지(PKO) 장관회의는 155개국 외교·국방장관, 국제기구 대표, 학계 등 700여명이 참석하는 회의로, 장관급 회의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이번에 서울에서 열리면 아시아에서 처음 개최된다. 유엔 행사인 만큼 유엔 쪽과 협의가 필요한데, 외교부 당국자는 “유엔 쪽과 아직 협의하고 있고 유엔 입장에 대해 들은 바는 없다. 신중하게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날 오전 외교부 기자단 대상으로 예정된 사전 설명회를 일단 연기하고 “(유엔과) 협의를 거쳐 입장이 확정되는 대로” 공개하겠다는 방침이다. 평화유지 장관회의는 애초 지난 4월 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상황이 악화해 12월로 연기됐다.
평화유지 장관회의와 함께 예상치 못한 오미크론의 벽에 부딪친 한-아프리카 포럼은 2006년 이후 3~5년 주기로 한국과 아프리카 연합(AU) 공동으로 열어온 협의체다. 이번에는 아프리카 연합 소속 13개국의 외교장관 등이 방한해 참석할 예정이었는데, 참여 대상 가운데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말라위 쪽은 정부가 오미크론 확산에 대응해 발표한 입국 제한 조처 대상 8개국에 속한다. 외교부 당국자는 “(정부가) 지금 8개국으로 입국금지 조처를 내렸는데 발생국 정부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재외국민 피해가 최소화하도록 필요한 영사 조력을 계속 제공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참석 대상 국가, 아프리카 연합 쪽과도 협의 중이라고 전해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정부는) 질병당국과 협의하며 긴밀히 검토해서 문제의 소지가 없도록 진행해 나가고자 한다”며 주중으로 검토를 마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은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라 29일(현지시각) 12월 스위스 루체른에서 열릴 예정이던 겨울 유니버시아드 대회를 취소한다고 밝혔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