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막전막후 278
1998년 김대중-오부치 한-일 파트너십 공동 선언
“식민지 지배로 한국 국민에게 다대한 손해와 고통”
“통절(痛切)한 반성과 사죄”···‘대북 햇볕정책’ 지지
1998년 김대중 대통령 참의원·중의원 국회 연설
“전후 일본 국민은 변함없이 평화헌법 지켰다”
“원폭 피해 체험 뒤 비핵 평화주의 원칙 고수”
“동북아 지역 안정·번영의 열쇠는 한반도 평화”
“북한 고립시키면 위험···국제사회로 끌어내야”
2019년 아베, “더 이상 과거사 사죄하지 않겠다”
군대 보유하고 전쟁할 수 있도록 헌법 개정 추진
동북아·한반도 긴장·갈등 고조시켜 우익세력 결집
1998년 김대중-오부치 한-일 파트너십 공동 선언
“식민지 지배로 한국 국민에게 다대한 손해와 고통”
“통절(痛切)한 반성과 사죄”···‘대북 햇볕정책’ 지지
1998년 김대중 대통령 참의원·중의원 국회 연설
“전후 일본 국민은 변함없이 평화헌법 지켰다”
“원폭 피해 체험 뒤 비핵 평화주의 원칙 고수”
“동북아 지역 안정·번영의 열쇠는 한반도 평화”
“북한 고립시키면 위험···국제사회로 끌어내야”
2019년 아베, “더 이상 과거사 사죄하지 않겠다”
군대 보유하고 전쟁할 수 있도록 헌법 개정 추진
동북아·한반도 긴장·갈등 고조시켜 우익세력 결집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일본 총리가 1998년 10월 도쿄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한겨레> 자료 사진
7월 17일 자유한국당 당대표 및 최고위원 -중진의원 연석회의 (정진석 의원 )
김종필 前총리는 한일국교 정상화를 진두지휘했던 장본인이고 , 김대중 前대통령은 국민 반대를 무릅쓰고 문화개방까지 했던 미래지향적인 입장에서 한일관계를 관리했던 경험이 있다 . 그 두 지도자를 우리가 지금 원조 토착왜구라고 비난할 것인가 . 그렇지 않지 않은가 . 국민감정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 첫째도 둘째도 국익을 우선으로 임해야겠다 .
7월 24일 원내대표 -중진의원 연석회의 (정갑윤 의원 )
문 대통령과 청와대는 한일 간 문화개방정책을 펼쳤던 故김대중 대통령의 국익 우선 외교정책을 거울삼아 전략과 지혜를 얻으라는 충고를 하고 싶다 .
8월 2일 조선일보 윤평중 칼럼 ‘국가의 근본을 생각한다 ’(윤평중 한신대 교수 )
정말로 중요한 건 '서생의 문제의식과 상인의 현실감각 '으로 이상 ( 理想 )과 현실을 통합하는 것이다 . 한국은 2004년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수출 심사 우대국 )에 포함된다 . 그것은 1998년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총리가 맺은 '21세기를 향한 새로운 한 ·일 파트너십 공동 선언 '이 낳은 한 ·일 상호 선린의 옥동자였다 .
7월 26일 중앙일보 중앙시평 ‘죽은 대통령들과의 대화 ’(고대훈 수석논설위원 )
DJ가 98년 10월 일본 국회에서 한 연설은 역사의식을 보여준다 . “일본과 한국의 관계가 불행했던 것은 약 400년 전 일본이 한국을 침략한 7년간과 금세기 초 식민지배 35년간입니다 . 50년도 안 되는 불행한 역사 때문에 1500년에 걸친 교류와 협력의 역사 전체를 무의미하게 만든다는 것은 참으로 어리석은 일입니다 .” 이런 냉철한 판단이 ‘21세기의 새로운 한 ·일 파트너십 ’을 천명한 김대중 ·오부치 선언을 끌어냈다 .
―한국 정부도 대일 ( 對日 ) 강경 기조를 굽히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문재인 정부는 도덕적 우위의 관점에서 한 ·일 관계를 바라본다 . 도덕성은 매우 중요한 가치이지만 외교를 도덕화해 상대국을 선악 이분법으로 보면 협상이 불가능하고 아무 문제도 해결할 수 없다 . 도덕적 우선권이 있는 쪽이 관대하게 나가면서 명분 ·실리를 동시에 확보한 전례가 있다 . 바로 일본의 식민지배 반성 ·사죄를 구체화한 '김대중 ·오부치 선언 '이다 . 김대중 대통령은 당시 일본 국회 연설에서 '일본이 과거사를 직시하는 용기가 필요하다 '면서도 전후 일본이 쌓은 평화와 경제성장 , 한국 외환 위기 극복에 공헌한 점에 감사도 표했다 .”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일본은 흥망성쇠의 근대사를 거치면서 이제 세계의 중심국가로 우뚝 섰습니다 . 일본은 메이지 유신으로 독자적 근대화에 성공했고 서구의 문물을 수용하여 큰 발전을 이룩했습니다 . 그러나 , 당시의 일본은 제국주의와 전쟁의 길을 선택함으로써 일본 국민은 물론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각국의 국민들에게 큰 희생과 고통을 안겨 주었습니다 .
하지만 제 2차 세계대전 후 일본은 달라졌습니다 . 일본 국민은 땀과 눈물을 바쳐 의회 민주주의의 발전과 함께 세계가 놀랄만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습니다 . 그리고 마침내 세계 제 2의 경제 대국으로 발돋움한 일본은 아시아 각국의 국민들에게 무한한 가능성과 희망의 길을 보여주게 된 것입니다 .
지금의 일본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세계 최대의 경제 원조국으로서 자신의 경제력에 상응하는 국제적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습니다 . 또한 인류 역사상 최초로 원폭의 피해를 체험한 일본 국민은 변함없이 평화헌법을 지켜왔고 , 비핵 평화주의의 원칙을 고수해 왔습니다 .”
“동북아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역동적인 역사의 현장입니다 . 현 단계에서 동북아 지역의 안정과 번영을 위한 열쇠는 한반도에 평화를 뿌리내리는 것입니다 . 나는 한반도에서는 통일에 앞서 남북한 간의 평화와 협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나는 취임과 동시에 새 정부의 대북정책과 관련하여 세 가지 원칙을 발표했습니다 .
첫째는 북한의 어떠한 군사적 위협이나 무력도발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 둘째 , 우리는 북한을 해치거나 흡수통일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 셋째 , 남북 간 화해와 교류협력을 통하여 남북관계를 실질적으로 개선한다는 것입니다 .
우리의 이러한 대북정책에 대해 한국 국민은 물론 일본을 포함한 전 세계가 지지를 보내고 있습니다 . 나는 확고한 안보태세를 바탕으로 한 남북한 화해와 협력의 증진은 , 궁극적으로 북한을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이끌어 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
최근 북한은 인공위성 발사실험을 통해 중장거리 미사일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 북한의 이러한 미사일 개발능력은 이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습니다 . 나는 이런 사실에 대한 일본 국민의 충격과 우려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 이럴 때일수록 한국과 일본 , 그리고 미국이 함께 협력하여 튼튼한 대북한 공조체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다만 북한을 상대함에 있어 우리는 일희일비하기보다는 단호한 안보태세와 함께 인내와 포용의 자세를 견지해야 합니다 . 고립되었을 때의 북한이 가장 위험한 존재가 될 것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
한일 대학생들이 7일 오전 서울 신촌 유플렉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반일, 반한이 아닌 노(No) 아베를 위해 연대한다'는 메시지를 담은 글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리고 다음 사람을 지목하는 '피스 챌린지'를 제안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