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인수위원이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청년도약계좌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2일 청년층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청년장기자산계좌’를 내년에 출시한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대선 과정에서 공약한 ‘청년도약계좌’를 실현하겠다는 것이다. 인수위는 청년이 10년간 저축하면 정부 장려금을 보태 1억원으로 불려주겠다는 윤 당선자 약속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소영 인수위 경제 1분과 인수위원(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은 이날 서울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브리핑을 열어 “인수위는 청년들의 장기 목돈 마련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한 청년도약계좌 공약의 추진 방향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금융권 상품 구조 협의와 관계법령 개정 등을 차질 없이 진행해 내년 중 이른바 청년장기자산계좌 출시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은 “청년희망적금·청년소득공제장기펀드·청년내일저축계좌 등 기존 청년 지원 상품이 포괄하지 못하는 최대 10년의 장기 자산 형성 지원 상품을 신규로 출시하겠다”며 “청년장기자산계좌는 상품별 지원 목적과 행정 비용을 균형 있게 고려해 합리적인 수준에서 지원 대상과 심사 기준 등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윤 당선자는 대선 때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19∼34살 청년이 매달 일정액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을 합쳐 월 70만원씩 연 3.5% 복리를 적용해 10년 뒤 1억원을 받는 정책 금융 상품을 내놓겠다고 약속했다. 김 위원은 “19∼34살 청년은 확실히 포함하고 지원 대상을 추가로 늘릴 수 있는지 여부도 검토 중”이라고 했다.
인수위는 기존 연 소득 600만∼2400만원인 저소득 청년의 저축액에 정부가 최대 3배까지 매칭 형태로 지원하는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유지하겠다고 했다. 김 위원은 “청년 자산 형성 지원의 핵심 뼈대는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장기자산계좌를 더한 것”이라며 “본인 소득과 가구 소득이 모두 낮은 청년의 경우 내일저축계좌와 장기자산계좌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가입할 수 있게 해 지원 효과를 높이는 방향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박종오 기자 pjo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