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가 26일 최고위원회에 ‘대의원제 축소’를 뼈대로 한 복수의 혁신안을 보고했다. 당원권 강화로 이어지는 대의원제 축소 또는 폐지 문제를 두고 계파 간 갈등이 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장경태 혁신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대의원제 축소를 포함한 혁신안을 지도부에 보고했다. 이날 최고위원회의에 보고된 혁신안에는 대의원·권리당원 1인1표제와 대의원·권리당원 비율 조정 등 대의원의 영향력을 축소하는 내용의 복수 안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당대표를 뽑은 전당대회에서 현행 대의원제 아래에서는 대의원 1명의 표가 권리당원 50∼60명의 표만큼 가치가 있어 표의 등가성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지도부 관계자는 <한겨레>에 “표의 등가성 문제가 심해져 왜곡을 축소하자는 취지”라고 전했다.
다만 지난 25일 열린 의원총회에서도 친명계와 비명계가 각각 찬성, 반대하며 충돌한 만큼 혁신위는 내부 의견 수렴을 이어갈 예정이다. 친명계는 대의원제를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소수의 대의원을 관리하면 당내 경선에서 승리가 가능한 구조인 탓에, 돈봉투 의혹 사건처럼 금권선거의 유혹이 커진다는 게 대의원제 폐지론자들의 주장이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돈봉투 유혹의 통로가 대의원제라고 생각한다”며 “당대표도, 국회의원도, 대의원도, 당원도 한표면 돈봉투 (유혹이) 사라진다”고 말했다. 반면 전해철 의원은 지난 2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대의원제는 500만명에 달하는 당원과 120만명의 권리당원 전체 의견을 당의 의사결정 과정마다 직접적으로 반영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십년간 이어져 왔다”며 “대의원의 역할과 기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전혀 상관없는 문제와 결부시켜 제도 폐지를 주장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했다.
조윤영 기자
jy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