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군함도에서 이재갑 작가가 찍은 방파제 너머 조선인 숙소. 이재갑 사진작가 제공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 피해 현장인 군함도 등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후속 조처로 일본에 ‘관련국과 대화하고 역사를 제대로 알리겠다는 기존 약속을 지키라’고 결정했다. 다만, 이 위원회는 군함도 등과 관련해 과거에 견줘 비판적인 내용이 대폭 축소된 보고서를 채택했다.
외교부는 15일 자료를 내어 세계유산위가 14일(현지시각)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일본의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후속 조처에 대해 ‘관련국과 대화하라’는 내용을 담은 결정문을 채택했다고 전했다. 일본의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이란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일본 내 8개 현에 걸쳐 있는 군함도 등 메이지 시대의 철강·조선·탄광 산업 현장이다.
이번 결정문은 2년 전에 채택된 내용과 상당한 격차가 있다. 세계유산위는 2년 전 조선인 강제동원에 대한 설명 부족 등을 지적하며 일본에 이례적으로 ‘강력한 유감’을 표하는 결정문을 내놓았다. 일본은 조선인 강제동원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알려나가겠다고 약속했지만, 강제동원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정보센터는 유산 현장이 아닌 도쿄에 만드는 등 관련 노력을 소홀히 했는데, 세계유산위가 이를 지적한 것이었다.
반면, 세계유산위는 이번에 채택한 결정문에서 일본이 새로운 조처들을 이행했다고 평가했다. 2015년 일본 정부의 약속에 따라 도쿄 신주쿠구에 2020년 설치된 산업유산정보센터의 전시 내용이 일부 변경된 점을 언급하며 조선인 노동자를 포함한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는 것이다. 세계유산위는 일본이 자신의 약속을 계속해서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관련 당사국(한국)과 대화하라고 주문했다. 이어 주문한 사항에 관한 진전을 세계유산센터 및 자문기구들이 점검할 수 있도록 2024년 12월1일까지 제출하라고 일본에 요청했다.
이에 대해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유산 강제노동 피해자와 유족들은 “일본 정부는 강제노동의 역사를 숨기고 피해자들이 일본의 근대화를 ‘뒷받침’했다며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 기만적인 행태에 심한 모욕감과 분노를 느낀다”고 밝혔다.
신형철 기자
newir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