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은 31일 대구시가 섬유산업 진흥을 위해 추진해온 이른바 ‘밀라노 프로젝트’의 핵심인 ‘패션어패럴밸리’ 조성사업(사업비 3007억원)에 대해 “사업 타당성을 면밀히 분석해 사업의 추진 여부를 전면 재검토 할 것”을 통보했다.
감사원은 이날 대구의 섬유 산업과 부산의 신발 산업, 광주의 광(光) 산업, 경남의 기계 산업 등 ‘지역산업 진흥사업 추진실태’ 감사 결과에서 이렇게 밝혔다.
감사원은 “문화 예술 산업의 성격을 지닌 패션 산업은 고급 원단의 제조, 첨단 염색과 가공 등 기술 기반이 없는 상태에서 산업단지 조성 만으로 인위적으로 육성하기는 곤란하다”며 “대구는 이런 패션 기반이 극히 취약한데도 타당성 조사 기관 등에서 제기한 반대 의견을 무시한 채 패션어패럴밸리사업(봉무 지방산업단지)을 강행했다”고 지적했다.
감사원은 지난해 8월 말까지 패션어패럴밸리사업의 실제 사업 진척률은 부지매입과 도로 확장만 마쳐 사업비 기준으로 18%에 불과하고, 총 사업비 3007억원 가운데 2307억원에 이르는 민자 조달방안도 마련되지 않아 추진 가능성이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감사원은 부산시의 신발 산업과 관련해 “신발 신소재 및 부품에 대한 기술 개발과 지원을 하는 ‘한국신발피혁연구소’가 있는데도 부산시가 지난해 ‘부산신발산업진흥센터’을 세워 일부 기능이 중복되고 있으며, 해외 신발 상설 전시관 합작 투자를 무리하게 추진해 사업비 40만 달러를 날렸다”고 지적했다.
반면, 감사원은 광주의 광 산업 진흥사업에 대해서는 “2000년 사업 착수 후 고용면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등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경남의 기계 산업 진흥사업에 대해서도 “연구 개발과 기업에 대한 기술 이전에 중점을 두는 등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했다”고 평가했다. 김종철 기자 phill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