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자 신상정보 불충분해 명단공개 유명무실
당 대표·중진에겐 국회의원들이 ‘품앗이 기부’
당 대표·중진에겐 국회의원들이 ‘품앗이 기부’
고액 정치자금을 제공하면서 신원을 제대로 밝히지 않아, 명단 공개를 유명무실하게 만드는 행태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소지에 ‘서울 양천구 목1동 ○○○번지’라고 적고, 직업란에는 ‘기업인’이라고 기재해, 기부자가 누군지 쉽게 알 수 없도록 하는 식이다.
2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공개한 2007년 120만원 초과 고액 기부 7782건 가운데, 직업란을 아예 비워둔 경우가 145건(1.8%)이었다. 직업을 밝히더라도 ‘회사원’(1029건), ‘자영업’(1200건) 등 구체적으로 적지 않는 경우도 수두룩했다. 이름만 공개하고, 생년월일·주소·전화번호·직업을 아예 적지 않아 신원을 확인하는 게 불가능한 경우도 6건이나 됐다. 유승희(2건, 800만원) 박병석(2건, 400만원) 민주당 의원 등에 대한 기부 사례다.
다른 사람의 이름을 빌려 후원한 것으로 의심되는 사례도 있다. 박상호 삼성생명 부사장은 자신과 부인, 딸 두 명의 이름으로 김양수 한나라당 의원에게 모두 1300만원, 전재희 의원에게 200만원, 김혁규 당시 대통합민주신당 의원에게 800만원을 냈다. 김양수 의원에 대한 기록에는 4명의 주소지가 모두 삼성생명으로 돼 있다. 개인은 국회의원 1명당 연 500만원 한도 안에서 연 2000만원까지만 후원할 수 있다. 박 부사장은 “부부동반 모임을 하는 사이로 가족들끼리 모두 잘 아는 사이”라고 말했다.
국회의원들끼리의 ‘품앗이 기부’ 가운데에는, 당 전·현직 대표를 후원한 사례가 눈에 띈다. 김태환·김학원 한나라당 의원은 박근혜 전 대표에게 각각 300만원, 200만원을 후원금으로 냈다. 국민중심당에 함께 있던 정진석·류근찬 의원은 심대평 당시 대표에게 300만원, 200만원씩 기부했다. 이색 기부자들도 많았다. 송현섭 전 열린우리당 재정위원장은 김영춘·정세균·이낙연·조순형 등 ‘옛 범여권’ 의원 8명에게 200만~300만원을 후원했다. 김각영 전 검찰총장은 김영숙 한나라당 의원에게 200만원을 기부했다.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은 민주당의 김재윤 의원에게 300만원, 강봉균 의원에게 200만원을 제공했다. 이동호 현대백화점 부사장은 민주당 충북 지역 의원 5명과 최재천·이계안 의원에게 100만~500만원의 후원금을 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