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연, 김정훈 의원에 자료 제출
신고리원전, 월성원전 등이 자리한 경남 양산 단층대와 그 주변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잠재 지진은 규모 6~6.5 안팎이며, 지진 발생 때 원전 설비가 고장 나거나 잘못 작동해 2차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18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김정훈 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답변 자료에서 “양산 단층대와 그 주변부에서 발생 가능한 최대 잠재 지진은 규모 6~6.5 내외로 평가된다”며 “현재 국내 원전의 내진 성능이 규모 6.5임을 고려하면, 이 정도 크기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원전 주요 구조물 파괴와 같은 직접적인 사고의 가능성은 적지만, 원전 설비의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한 2차적인 사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양산 단층은 부산에서 경주를 거쳐 영덕을 잇는 200㎞의 단층대로, 주변에 신고리원전과 월성원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등이 있어 단층대의 활성 여부와 지진 활동 등에 관심이 쏠리는 곳이다.
지질자원연구원이 국내 원전 지역 4곳에서 규모 3.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상·중·하’로 수치화한 결과, 월성원전과 울진원전은 상, 고리원전은 중, 영광원전은 하로 조사됐다. 이는 원전 부지 4곳을 상대적으로 비교 평가한 것이다.
김 의원 쪽은 “고리나 월성에서 원전 운영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규모인 6.5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확률은 극히 미약하지만, 2차 사고 가능성까지 배제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에서 기상청이 본격적인 계기관측을 시작한 1978년 이후 현재까지 지진 피해를 어느 정도 일으킬 수 있는 규모 5.0 안팎의 지진은 모두 10차례 발생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