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호·강봉균·김진표 13일 경선
민주당의 18대 국회 마지막 원내 사령탑을 뽑는 경선(13일)을 앞두고 ‘강력한 야당’을 표방한 유선호 의원, ‘대안정당론’을 내세운 강봉균 의원, ‘중부권 원내대표론’을 제시한 김진표 의원의 3파전이 치열해지고 있다.
4·27 재보선 승리 이후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처리 문제를 계기로 당의 노선과 진로에 대한 논쟁이 불붙고 있는 데다, 비주류 황우여 의원을 원내대표로 선출한 ‘한나라당발 쇄신 바람’ 속에 치르는 선거여서 더 관심을 끈다. <한겨레>는 8일 이들 3명에게 주요 현안에 대한 의견을 들어봤다. (표 참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처리 문제에 대해선, 세 후보 모두 정부의 재협상안에 반대한다고 밝혔지만 답변의 초점은 조금 달랐다. 유 의원은 “굴욕적인 재협상 내용을 바로잡지 않으면, 몸으로라도 반드시 막겠다”며 “실력저지” 방침을 밝혔다. 강 의원은 “굴욕적 협상을 했고, 추가적 보완대책도 마련하지 않았다”며 “책임규명 선행”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재협상은 이익의 균형이 현저히 무너져 있다”며 “재재협상을 요구”하겠다고 답했다.
민주당이 추진중인 ‘3+1 보편적 복지 정책’(무상급식·무상의료·무상보육+반값등록금)이 증세 없이도 가능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3인3색의 답변이 나왔다. 세 후보 모두 재정구조, 조세제도 개혁을 통해 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면서도, 유 의원은 “부유세 신설에 반대하지 않는다”고 밝혔고, 강 의원은 “보편적인 증세가 뒷받침돼야 한다”면서도 새로운 세목 신설엔 반대했다. 김 의원은 “증세 없이 재원을 확보하는 게 기본 목표”라고 답했다.
사법개혁안의 핵심 내용인 특별수사청 설치에는 모두 찬성했다. 다만, 강·김 의원은 수사대상을 판검사와 국회의원까지로 제한하자는 의견인데 비해 유 의원은 고위공직자까지로 넓혀야 한다고 밝혔다. 대법관 증원에는 세 후보 모두 부정적이었다. 야권연대의 방향과 관련해, 강·김 의원은 민주당과 국민참여당이 통합하는 ‘선통합 후연대’가 바람직하다고 답한 반면, 유 의원은 진보정당까지 통합하는 야권단일정당론을 폈다.
세 사람 모두 각자의 약점으로 거론되는 부분에 대해선 적극 해명했다. 유 의원은 ‘강인한 리더십과 정치적 중량감이 부족하다’는 평에 대해 “국회 법사위원장으로서 입법 전쟁의 고비마다 내면의 전투력으로 집권 여당의 횡포를 막아냈고, 검찰총장 후보자를 낙마시킨 팀플레이를 이끌었다”고 강조했다. 강 의원은 ‘호남 출신의 보수적 관료형 인물’이라는 평에 대해 “관료 시절 최저임금제, 기초생활보장제 도입을 주도했고, 2004년 호남 현역 가운데 유일하게 경선을 통해 당선됐다”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친정세균 이미지가 강한 관료형 인물’이라는 평에 대해 “민주정부 10년 동안 진보적 정책을 총괄한 경험이 있고, 당 정책위의장과 최고위원으로 정치의 중심에 있었다”며 “다른 관료 출신 후보보다 더 진보 개혁적”이라고 말했다.
이지은 석진환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