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구 안내 민주당 배려
야권승리 보탬 명분 얻고
원내 의석 확보 실리 겨냥
정당표, 민노 잠식 가능성
야권승리 보탬 명분 얻고
원내 의석 확보 실리 겨냥
정당표, 민노 잠식 가능성
‘지역구 후보 포기, 비례대표 올인’이라는 국민참여당의 내년 총선 구상은 진보정당과의 통합이나 연대에 실패할 경우 독자적으로 총선을 돌파하기 위한 나름의 승부수로 보인다. 아예 지역구 후보를 내지 않는 대신 전국에서 당 이름을 내걸고 비례대표 의원을 배출하는데 전력투구하겠다는 전략이다.
이 구상은 야권의 통합이나 연대가 무산될 경우를 전제하고 있다. 야권 후보가 난립하는 구도에선 지역구에서 참여당 후보가 독자 출마하더라도 승산이 별로 없다는 현실적 판단이 깔려 있다. 더구나 민주당 후보와 표를 나눠가지면서 한나라당 후보에게 어부지리의 승리를 안길 경우 참여당에 ‘분열세력’이란 낙인이 찍힐 수 있다는 점도 우려한 것 같다.
유시민 참여당 대표는 지난해 경기도지사 선거와 지난 4·27 김해을 선거에서 패배한 것과 관련해 “대립적 연대, 경쟁적 단일화 때문”이라며 “앞으로 협력적 연대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총선에서 민주당과 ‘소모적인 대립’은 않겠다는 다짐인 셈이다.
참여당으로선 원내 의석 확보라는 현실적 측면으로 봐도 비례대표 전략이 지역구 전략보다 나을 수 있다. 민주당에 지역구를 양보하는 희생적 모양새를 보임으로써 정당득표에서 성과를 올리는 등 명분과 실리를 동시에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구상은 특히 민주노동당과의 통합 논의에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참여당의 비례대표 총선 전략이 현실화하면 비례대표 의석 의존율이 높은 민주노동당의 정당 득표를 잠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참여당의 서울, 경기지역 정당득표율은 민노당이나 진보신당보다 앞섰다. 경기도에서 참여당은 9.78%, 민노당 4.63%였고, 서울에서도 참여당 4.86%, 민노당 3.86%였다. 유시민 대표는 최근 “전체 비례대표 의석수(56명) 이상의 후보를 낼 수 없는 한계는 있지만, 비례대표 후보자들은 전국 어디에 가든 선거운동을 할 수 있다”며 자신감을 나타냈다.
‘비례대표 올인’ 구상이 참여당의 공식 방침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다. 현재는 진보정당 통합에 ‘올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여당 핵심 관계자는 “당내에 상당한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지금으로서는 민주노동당과의 통합이 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참여당은 10일 중앙위원회를 열어 ‘5·31 진보대통합 연석회의’ 최종합의문을 승인하고, 유 대표를 위원장으로 하는 ‘새로운 진보정당 추진위’를 발족시킬 예정이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