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 드러나 사퇴압력 커질듯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가 미얀마 해외자원개발 특혜 및 우회상장 등의 의혹이 제기된 바 있는 케이엠디시(KMDC) 주식을 보유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김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 제출 자료와 답변 등을 통해 주식 거래·보유 사실을 계속 부인해온 만큼 거짓 진술에 따른 장관 자격 논란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19일 케이엠디시 주주 명부를 보면, 김 후보자는 2011년 주주로 등재돼 있다. 김 후보자 쪽은 “케이엠디시 비상장 주식 750주(액면가 주당 5000원·총액 400만원, 구입가 주당 4만원·총액 3000만원)를 본인 명의로 구입했으며, 2011년 후반기 증자 시 450만원 상당의 주식을 추가로 매입했다”며 “확인 결과 현재는 주식의 가치가 폭락하여 자산가치가 거의 없는 상태다. 청문요청서를 짧은 시간에 작성하다 보니 꼼꼼하게 확인하지 못해 주식 보유 사실이 누락되었다”고 말했다.
인사청문회 당시 김 후보자는 아내와 자녀의 주식 거래 내역을 제출하면서 주식거래가 없다는 근거 자료로 자신의 계좌별 거래 내역을 함께 제출한 바 있다. 그는 또 국회에 제출한 답변서에서 “본인의 주식 거래 내역은 없으며, 주식 보유는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케이엠디시 주식 보유 사실이 알려진 뒤 김 후보 쪽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 문제의 주식을 2011년 5월 초 지인을 통해 구입했다고 밝혔으나, 그 지인이 누구인지는 거론하지 않았다. 케이엠디시는 당시 비상장 회사여서 일반인들이 주식을 사기는 쉽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케이엠디시는 설립 1년 만인 2011년 1월 미얀마 해상가스전 탐사개발권을 확보한 뒤 같은 해 국회 국정감사에서 비사업성 논란, 개발권 수주 특혜, 코스닥 상장기업 인수를 통한 우회상장 시도 등 여러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실제로 당시 케이엠디시가 한 코스닥 상장업체의 경영권을 확보한 뒤 주가가 이상 급등해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당시 민주당 쪽은 사업권 수주에 당시 정권 실세로 불리던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 개입돼 있다며 씨앤케이(CNK)인터내셔널 주가조작 사건과 유사한 투자자 피해가 일어날 가능성을 우려한 바 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의원들은 이날 성명을 내어 “인사청문회 당시 김병관 후보자는 주식 보유 사실을 일체 부인한 바 있다. 이것은 명백한 허위답변이었으며 허위자료 제출이었음이 드러났다. 위중한 국가안보 상황을 직시하여 지금 당장 후보자직을 사퇴해야 한다”며 박근혜 대통령에게 김 후보자에 대한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대통령의 ‘깨알 리더십’…공직사회 속앓이
■ 로드먼 “리설주, 딸 얘기만 했다”
■ 사회지도층 ‘성접대 의혹’ 별장 가보니…
■ “‘손주 돌보미 사업’에 할아버지는 왜 안되지?”
■ 술집 출입나이 실랑이 말고 앱에 물어봐요
■ 박대통령의 ‘깨알 리더십’…공직사회 속앓이
■ 로드먼 “리설주, 딸 얘기만 했다”
■ 사회지도층 ‘성접대 의혹’ 별장 가보니…
■ “‘손주 돌보미 사업’에 할아버지는 왜 안되지?”
■ 술집 출입나이 실랑이 말고 앱에 물어봐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