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뒷모습 오른쪽부터)과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이 1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정원 댓글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청문회에 출석해 야당 의원들의 심문에 답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새누리 “채택 않기로 물밑합의”
민주당 “허위 발언 고발” 반발
3차 청문회 불참 가능성 비쳐
민주당 “허위 발언 고발” 반발
3차 청문회 불참 가능성 비쳐
국가정보원 댓글의혹 사건 등 진실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의 또다른 핵심 증인으로 거론되던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과 권영세 주중 대사의 불출석이 사실상 확정적이다. 그간 두 증인에 대한 채택을 강력히 요구했던 민주당이 반발하고 있어, 일주일이 채 남지 않은 국정조사가 정상적으로 진행될지 주목된다.
이번 국정조사의 마지막 청문회 날인 21일은 1·2차 증인청문회에 불출석한 증인과 함께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 대사 등 미합의 증인들을 소환하기로 여야가 합의한 날이다. 일주일 전 증인에게 통보하도록 돼 있는 법 조항을 고려할 때 김 의원과 권 대사를 출석시키려면 16일에는 여야 합의가 끝났어야 한다.
민주당은 ‘데드라인’인 이날 김 의원과 권 대사의 증인 채택 불발이 예견되자 남은 일정의 불참을 언급하며 새누리당을 압박했다. 정청래 민주당 특위 간사는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대사 증인 채택이 논의되고 있지 않다. 김 의원은 12월14일 김용판 전 서울청장이 허위 수사 발표를 할 것을 이미 알고 ‘댓글 없다’고 그날 오전 기자에게 얘기한 핵심 증인”이라며 “두 사람을 증인으로 채택하지 않으면 19일 2차 청문회는 심각한 걸림돌이 있게 된다”고 ‘경고’했다. 정 간사는 “원세훈, 김용판 등 두 증인이 나왔는데 김무성, 권영세 증인도 반드시 나와서 김새는 청문회가 아니라 알 권리를 충족하는 청문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김 의원과 권 대사를 증인으로 채택하지 않기로 양당 사이에 묵시적 합의가 있었다며 ‘채택 불가’를 선언했다. 권성동 새누리당 국조특위 간사는 “김무성·권영세 두 증인 채택을 계속해서 주장하는데, 두 분에 대해 증인 채택을 하지 않기로, 정 간사가 여러 차례 ‘두 분 증인의 신청은 그야말로 협상용’이라고 말했다. ‘끝까지 갈 생각이 없다’고 했다”며 “(그런 배경이 있었음에도) 틈만 나면 두 분 얘기”라고 반박했다.
다시 새누리당의 ‘물밑 합의’ 주장에 대해 정청래 민주당 간사가 “허위 발언이다. 고발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이자, 권성동 새누리당 간사도 “어떻게 하면 국정조사를 깰까 머리 쓰지 말고 국정조사장에서 진실이 뭔지를 밝히기에 몰두해 줄 것을 촉구한다”며 맞섰다.
민주당에선 김 의원, 권 대사의 증인 채택 불발과 관련해 국정조사 특위 위원들을 중심으로 남은 일정을 ‘보이콧’하자는 기류도 있으나, 19일 2차 청문회를 예정대로 진행하자는 의견도 많다. 당 핵심 당직자는 “2차 청문회에 국정원 전·현직 직원, (지난해 대선 당시 국정원 댓글작업 등을 분석한) 서울경찰청 분석관 등 주요 증인들이 많아, 2차 청문회에 임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원내대표 쪽 인사는 “현재로선 19일에 2차 청문회를 열고, 일주일 전 증인통보 규정과 무관하게 김무성 의원 등이 증인 출석을 정치적으로 자진결단하는 것을 기대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국정원 여직원, ‘셀프감금’때 인터넷 접속기록 삭제했다
■ 누드 모델 하영은 “벗으면 그 사람의 삶이 보여요”
■ ‘설국열차’처럼 바퀴벌레만 먹고 산다면?
■ [화보] 국정원 청문회 출석한 김용판의 야릇한 표정
■ [화보] 나 혼자 같이 사는 ‘셰어하우스’ 구경하세요
■ 국정원 여직원, ‘셀프감금’때 인터넷 접속기록 삭제했다
■ 누드 모델 하영은 “벗으면 그 사람의 삶이 보여요”
■ ‘설국열차’처럼 바퀴벌레만 먹고 산다면?
■ [화보] 국정원 청문회 출석한 김용판의 야릇한 표정
■ [화보] 나 혼자 같이 사는 ‘셰어하우스’ 구경하세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