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 동숭동 국립국제교육원 후보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김명수 각종 의혹에도 태연
“요즘 신문이고 뭐고 안봐”
새정치 유기홍 의원
“단행본도 ‘이중출판’ 의혹
공저 3권중 2권 내용 겹쳐”
“요즘 신문이고 뭐고 안봐”
새정치 유기홍 의원
“단행본도 ‘이중출판’ 의혹
공저 3권중 2권 내용 겹쳐”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논문 표절 의혹과 칼럼·특강 원고의 제자 대필 등 연이어 터져나오는 의혹에 대해 30일 “요즘 신문이고 뭐고 일체 안 본다”며 개의치 않는다는 태도를 보였다.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 낙마 이후 다른 장관 후보자는 전원 지키겠다는 방침을 세웠던 새누리당에서도 김명수 후보자에 대해선 청문회 결과와 여론 동향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는 기류가 흐르고 있다. 김 후보자의 연구실적에 대한 의혹은 이날도 계속 제기됐다.
김 후보자는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국제교육원에서 <한겨레> 기자와 만나 ‘논문·칼럼·특강 원고 등을 대필했다는 제자의 편지를 읽었느냐’는 질문에 “요즘 신문이고 뭐고 일체 안 본다”고 답했다. 후보자로 지명되기 직전 주식을 거래한 사교육업체 ‘아이넷 스쿨’이 매제가 이사로 있던 회사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더 묻지 말라. 물어도 대답할 게 없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지금까지 제기된 40건에 이르는 의혹에 대해 일절 해명하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완구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시비에스>(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김 후보자 문제와 관련해 “야당 주장을 떠나서 국민적 눈으로 볼 때 논문 표절이나 연구비, 이런 것들에 문제가 있다면 통과를 못 시키는 것”이라며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고 국민적 눈높이로 볼 때도 ‘도저히 이런 분이 어떻게 통과되겠냐’ 하는, 그런 객관적 사실이 드러난다면 여야를 떠나서 분명하게 입장을 정해야 된다”고 말했다. 이 비대위원장은 또 “청문회를 열어 객관적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저희가 꼭 여당이 내놓는 후보이기 때문에 통과시켜야 된다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국민적 눈높이에서 냉정히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전국 40개 대학 국공립대학교 교수로 구성된 전국국공립대학교수회연합회(국교협·회장 이병운 부산대 교수)는 성명을 내 “제자 논문 표절, 논문성과 가로채기, 연구비 불법수령, 부실 강의 등에 대해 납득할 만한 해명이 없는 상태”라며 “특히 김 후보자가 임용심사 당시 박사학위 논문을 그대로 제출하거나 승진심사 때 일부를 그대로 게재한 논문을 제출한 것은 교육부의 ‘대학교원인사관리지침’(학위논문 인정은 1회로 제한)을 어긴 명백한 위법행위”라고 비판했다. 국교협은 “(표절, 제자 논문 가로채기 등) 의혹이 제기된 논문이 무려 12편이다. 전형적인 연구부정이며, 동료 교수들과 제자들 앞에 얼굴을 들 수 없는 수치스런 행위로 ‘관행’이 아니라 ‘비리’”라며 “교수가 저지를 수 있는 대표적인 ‘적폐’를 안고 있는 김 후보자를 교육부 장관에 임명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한편, 김 후보자에 대해 이날에는 단행본 ‘이중 출판’ 의혹이 새롭게 제기됐다. 유기홍 새정치연합 의원은 지난 10년간 한국교원대에서 인정한 김 후보자의 출판물을 분석한 결과, 김 후보자가 쓴 공저 3권 가운데 현직교사나 교직 희망생들을 대상으로 쓴 책 <중등교직실무>(교육과학사, 2011년)와 <교직실무>(학지사, 2010년) 내용이 거의 겹친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중등교직실무> 중 제12장을 썼는데, 전체 37쪽 가운데 10쪽이 1년 전에 쓴 <교직실무> 제10·11장의 10쪽(전체 59쪽)과 내용이 비슷했다.
두 책은 한국교원대에서 김 교수의 저·역서 실적으로 인정받아 교수업적평가 실적 점수로 반영됐고 성과급도 지급됐다. 2008년 만든 교원대 연구윤리 규정은 ‘저자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이전에 출판된 자신의 연구물을 새로운 연구물인 것처럼 출판하거나 출판을 시도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유 의원은 “김 후보자는 단독저서는 하나도 없이, 공저만 겨우 3권인데 이 중 2권에 대해 이중 출판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라며 “이를 교수업적으로 내놓은 김 후보자는 교육부 장관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하어영 김민경 김수헌 이재욱 기자 hah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