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민주당 의원. 자료사진
“악의적인 명예훼손, 강력하게 법적 대응할 것”
지난 대선때 자발적 지지자 ‘드루킹’
“인사 관련 무리한 요구 관철안되자 불만 품은 듯”
지난 대선때 자발적 지지자 ‘드루킹’
“인사 관련 무리한 요구 관철안되자 불만 품은 듯”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문재인 정부 비방 댓글을 쓰고 추천수 등을 조작한 혐의(업무방해)로 구속된 김아무개씨 등 민주당원들과 수백차례 비밀문자를 주고받았다고 일부 언론이 보도한 데 대해 “저와 관련해 사실이 아닌 내용이 무책임하게 보도된 데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14일 밤 9시30분 국회 정론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문제가 된 사건의 본질은 지난 대선 때 문재인 후보를 자발적으로 돕겠다고 스스로 연락하고 해놓고, 뒤늦게 무리한 대가를 요구하다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이에 반감 품고 불법적인 ‘매크로’를 사용해 악의적으로 정부를 비난한 사건”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매크로’는 여러 개의 명령을 하나의 명령으로 묶어 간단하고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댓글 공감수를 늘려 여론을 조작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김 의원은 “심각한 불법 행위의 진상을 파헤쳐야 할 시점에, 사건과 무관한 저에 대한 허위의 내용이 어딘가에서 흘러나오고, 이를 충분히 확인도 하지 않은 채 보도가 되는 것은 대단히 악의적인 명예훼손”이라며 “특히, ‘수백 건의 문자를 주고받았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른 악의적 보도이므로, 강력하게 법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수백 건의 텔레그램 문자가 어떤 내용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텔레그램 메시지를 수백건씩 주고받았다는 것은 명백히 사실 아니다”며 “제게 여러 메신저 통해 자신들의 활동을 대부분 일방적 보내온 것이고, 저하고 마치 수시로 연락 주고받은 것처럼 말하는건 명백히 사실이 아니다”라고 했다. ‘문자를 보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김 의원은 “의례적으로 감사 인사라든지 그런 걸 보낸 적은 있지만 무슨 상의하듯이 주고받은 내용이 수백 건이라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김 의원은 사건의 경위에 대해서도 밝혔다. 김 의원은 “문제가 된 인물은 지난 경선 전 문 후보를 돕겠다고 연락해왔다. 당시 수많은 지지그룹들이 그런 식으로 돕고 싶다고 연락이 왔었고, ‘드루킹’이라는 분도 그 중에 한명”이라고 했다. ‘드루킹’은 이번에 구속된 3명 중 한 명인 김아무개씨다. 국제·경제 이슈 등 국내외 정세를 다룬 김씨의 블로그 ‘드루킹의 자료창고’는 누적 방문자수가 980만명에 달하고, 김씨는 2000년대부터 노무현 전 대통령을 공개적으로 지지한 유명 인터넷 논객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지난 2014년 소액주주 운동을 명분으로 인터넷 카페 ‘경제적 공진화 모임’(경공모)을 개설해 이끌기도 했다. 김씨는 이같은 온라인 공간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활용해 안희정 전 충남지사 등 유력 정치인들을 초청해 강연을 열기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대선) 당시에는 누구라도 문 후보를 돕겠다면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것이 선거 때는 통상적으로 자주 있은 일”이라며 “그 뒤에 드루킹은 텔레그램으로 많은 연락을 보내왔다. 당시 수많은 사람으로부터 비슷한 메시지를 받는 저로서는 일일이 확인할 수도 없었다”고 했다. 김 의원은 드루킹에 대해 “대선 경선 전에 처음 찾아와서 만났고, 그 이전에는 일면식도 없는 사람”이라고 했다.
김씨 등이 인터넷 댓글과 추천수 조작에 나선 배경에 대해 김 의원은 “그들이 왜 그런식의 활동했는지 지금도 이해할 수 없다”면서도 “무리한 요구가 관철되지 않자 거기에 불만을 품고 일탈행위를 한 거 아닌가 생각한다”고 했다. 김 의원은 “선거가 끝난 뒤 드루킹이 무리한 요구를 해왔다. 인사와 관련한 무리한 요구였고, 청탁이 뜻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자 상당한 불만을 품은 것으로 느낄 수 있었고 그렇게 끝난 일이었다”고 했다. ‘무리한 요구’가 무엇인지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김 의원은 “인사 관련 무리한 요구였다. 우리가 들어주기 어려운 요구였다”면서도 구체적인 답변은 하지 않았다.
김 의원은 김씨 등이 매크로를 통한 불법행위에 연루된 것에 대해 “보도를 통해 처음 접했다”며 “그런데도 마치 제가 그 사건의 배후에라도 있는 것처럼 허위 사실이 유통되고 무책임하게 확인도 없이 실명으로 보도까지 나간 것은 이해할 수 없는 터무니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그는 “허위정보의 출처와 유통 경로, 무책임한 보도과정에 대해서도 명백히 진실을 밝혀야 하고, 그에 따른 응분의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