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기본소득당, 시대전환, 가자평화당, 평화인권당 등 5개당과 비례연합 플랫폼 '시민을 위하여'가 17일 오후 비례연합정당 협약서를 체결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제공
더불어민주당이 참여하기로 전날 결정한 비례정당연합인 ‘시민을 위하여’가 국회의원 비례대표 후보 영입 및 공모 절차에 착수하는 등 총선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배근·우희종 ‘시민을 위하여’ 공동대표는 18일 교통방송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나와, 참여한 정당에서 추천한 후보를 검증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시민사회 영역에서 후보를 영입하겠다고 밝혔다. 최배근 대표는 “소수 정당 몫을 추천해 준 경우에 (비례 후보로) 엄격한 심사를 받는 건 똑같다. 그 기준에 충족하지 못하면 탈락할 수 있는데, 최대 3회까지 (추천할 기회를 준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추천받은 세번째 후보까지 심사기준을 통과하지 못하면 “국민 눈높이를 맞추지 못한 어느 정당도 (의석을) 절대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은 합의가 됐다”고 했다.
시민을 위하여는 이와함께 비례대표 후보를 공모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우희종 공동대표는 “확장성을 위해서 시간의 범위 내에서 시민사회 영역에서 최대한 좋은 분을 모셔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배근 대표도 “소수 정당만 가지고 우리 사회의 비례성을 대표하는 비례후보들을 다 충족시킬 수 없는 상황이다 보니까 우리가 물색을 해야 된다”고 덧붙엿다.
영입된 후보들은 특히 총선 뒤 각 정당으로 돌아가지 않고 시민을 위하여 소속으로 남을 가능성도 내비쳤다. 최배근 대표는 “(총선이 끝나면) 처음에 표방했듯이 사실상 저희 역할은 끝난다. (당선된 후보들은) 출당시켜서 자기 정당으로 복귀를 한다”면서 “(다만) 비례 승계 문제가 남아서 당은 형식적으로 시민사회 영역에서 선출한 분들이 유지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계획을 설명했다.
또 시민을 위하여는 전날 참여하지 않은 정치개혁연합·녹색당·미래당 등과 함께 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전날 민주당과 기본소득당·시대전환·가자환경당·가자평화인권당만 이번 총선에 이른바 ‘비례대표용 플랫폼 정당’인 시민을 위하여에 참여하기로 협약을 한 바 있다. 우희종 공동대표는 “다들 합의문까지 작성했는데, 개문발차지만 (나머지 정당과 협력은) 끝났다”고 말했다. 이들은 출범하는 비례정당의 이름으로 ‘더불어시민당’ 또는 ‘더불어시민연합’을 고려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이들은 소수 정당들과 합의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협상이 쉽지 않았음도 내비쳤다. 최배근 대표는 “어제 늦은 밤까지 소수정당들하고 합의서 작성을 마쳤다”면서 “합의를 해놓고 바뀔 뿐만 아니라 거기에다가 자기들 셈법이 잘 통일이 안된다”고 했다. 우희종 대표는 “큰 당이건, 작은 당이건, 소수이건, 개인이건 다들 미쳐있다”며 “밖에서 본 이미지하고 이면에서 요구하거나 거래하는게 너무 달라서 깜짝 놀랐다”고 했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