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훈토론회 발언 논란
시장으로 책임감 느낀다면서도
“폭력행위 진압 과정서 생긴 것”
시장으로 책임감 느낀다면서도
“폭력행위 진압 과정서 생긴 것”
![31일 오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시장 후보 초청 관훈토론회에서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31일 오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시장 후보 초청 관훈토론회에서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1/567/imgdb/original/2021/0331/2716171912523355.jpg)
31일 오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시장 후보 초청 관훈토론회에서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대부분 남성이 그렇듯 묻기 민망”
“1가구 1주택자는 재산세 없애고
납부 기준도 9억 상향이 바람직” 오 후보는 ‘셀프 보상’ 의혹이 제기된 내곡동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과 관련해 ‘땅의 존재조차 몰랐다’는 표현이 거짓말 논란으로 비화한 것에 대해선 “(처가의 땅이) 제 의식 속에 없었다. 이렇게 정확하게 표현했으면 좋았을 뻔했다”며 “10년 전 썼던 표현을 그대로 썼다. 반성한다”고 사과했다. 그러나 “그게 거짓말은 아니지 않냐? 존재 자체도 의식 못 했다는 것을 존재도 몰랐다고 표현한 게 그렇게 큰 죄가 되냐”고 항변했다. 처가 쪽에서 강제수용 보상금과 단독주택 부지를 받은 사실을 볼 때 땅의 존재 자체를 모를 수 없다는 지적에 대해선 “대부분 남성이 그렇듯 땅에 대해 (아내에게) 물어보는 것도 민망하다” “중요한 것은 시가보다 낮게 보상받았다는 것”이라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오 후보는 “노후 대책으로 집 한 채 마련했는데, 집을 팔아야 하는 것은 너무 가혹하다”며 “1가구 1주택의 경우 소득 없는 분들에게는 재산세를 면제해드리는 게 옳다”고 밝혔다. 또 “서울 아파트 중위 가격이 9억5천만원을 넘어섰다”며 “재산세 납부 기준 등을 6억에서 9억 정도로 모두 옮기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1가구 1주택 재산세·종합부동산세 완화는 지난해 4·15 총선에서 일부 더불어민주당 후보들도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재산세 면제는 법 개정이 필요해 시장이 결정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자칫 수십억원짜리 고가 주택을 가진 강남 부자들의 세 부담만 완화하고, 이른바 ‘똘똘한 한 채’ 구매를 부추겨 부동산 가격 폭등을 촉발하는 패착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오 후보는 이 토론회에서 과거에 문재인 대통령을 ‘중증 치매 환자’라고 표현한 것에 대해 “국민들은 전부 경제가 안 좋아서 힘들다고 하는데 대통령께서는 경제에 문제가 없다고 한다. 그래서 ‘중증 치매 환자도 아니고 어떻게 이런 표현을 하시냐’고 한 건데 문제를 삼은 것”이라며 “이런 표현도 쓸 수 없다면 도대체 어떤 (표현으로) 강력한 비유를 할 수가 있겠느냐”고 반박했다. 다만 그는 “이 시간 이후로 그런 표현을 쓰지 않겠다”고 말했다.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