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미래

누렇게 타들어간 녹색 들판…위성에서 본 유럽의 ‘불타는 여름’

등록 2018-07-29 06:59수정 2018-07-29 15:07

폭염에 가뭄에 산불까지
20일새 녹색이 갈색으로
덴마크 슬라겔세 지역의 올해 7월(왼쪽)과 지난해 7월 모습. ESA
덴마크 슬라겔세 지역의 올해 7월(왼쪽)과 지난해 7월 모습. ESA
올 여름 유례없이 일찍 시작된 찜통더위는 한반도만의 일이 아니다. 이웃 일본은 말할 것도 없고 미국, 유럽 등 북반구 전체에서 벌어지고 있는 세계적인 현상이다. 특히 이번 찜통더위는 뜨거운 공기와 대기정체가 어우러지면서 비 소식까지 끊어버렸다. 설상가상으로 영국이나 스웨덴, 그리스 등에서는 사상 최악의 대형 산불까지 겹쳤다.

유럽우주기구(ESA)가 올 여름의 `가뭄 폭염' 피해 상황을 극명히 보여주는 위성 영상들을 공개했다. 위의 사진은 코페르니쿠스 센티넬2(Copernicus Sentinel-2) 위성이 촬영한 덴마크 최대의 섬 질란드의 슬라겔세(Slagelse) 지역 농지의 지난해 7월과 올해 7월 모습이다. 들판이 녹색을 띠고 있는 사진이 지난해 7월 모습이고, 황토색 들판이 최근의 모습이다. 뜨거운 날씨에 비가 오지 않으면서 들판의 농작물들이 모두 누렇게 타들어갔음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유럽우주기구는 이 사진을 공개하면서 "유럽의 다른 많은 지역에서도 똑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코페르니쿠스 센티넬2호 위성은 유럽의 경작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고해상도 사진을 실시간으로 보내오고 있다.

6월30일의 유럽. 녹색이 땅을 뒤덮고 있다.
6월30일의 유럽. 녹색이 땅을 뒤덮고 있다.

7월19일의 유럽. 20일새 온통 갈색으로 변해버렸다.
7월19일의 유럽. 20일새 온통 갈색으로 변해버렸다.
코페르니쿠스 센티넬3호 위성이 보내온 사진은 더욱 극적이다. 녹색 사진은 올 6월30일, 갈색 사진은 7월19일에 촬영한 것이다. 독일 북부와 덴마크, 스웨덴에 걸친 드넓은 지역이 불과 20일 사이에 풍요로운 녹색에서 메마른 갈색으로 완전히 탈바꿈했다.

올 여름 지구촌 폭염의 직접적 원인은 정체된 북반구 대기가 만든 '열돔 현상'이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온실가스 누적에 의한 지구온난화가 연출하는 다양한 지구 기후변화 양태의 하나일 것으로 많은 과학자들은 보고 있다.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 ▶곽노필의 미래창 바로가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한국천문학회, 머스크의 스타링크 겨냥 “하늘은 조용해야” 1.

한국천문학회, 머스크의 스타링크 겨냥 “하늘은 조용해야”

고도 100km서 2분간 달 중력 비행 성공 2.

고도 100km서 2분간 달 중력 비행 성공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3.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생명의 원료 가득한 500m 크기 ‘돌무더기’ 소행성 베누 4.

생명의 원료 가득한 500m 크기 ‘돌무더기’ 소행성 베누

조깅에 스트레칭 더하면 ‘금상첨화’…최적 시간은 ‘4분’ 5.

조깅에 스트레칭 더하면 ‘금상첨화’…최적 시간은 ‘4분’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