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재 서울대 교수팀 초파리 실험
장내 미생물이 숙주동물의 대사과정에 직접 영향을 끼쳐 성장을 촉진하는 구실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초파리 실험에서 나왔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이원재(사진) 교수 연구팀(생체공생시스템 창의연구단)은 3일 초파리의 장내에 사는 ‘아세토박터 포모룸’이라는 흔한 세균이 숙주인 초파리의 인슐린 대사 신호체계에 관여해 초파리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장내에 이 세균을 지니지 않은 초파리는 유충이나 성체 단계에서 몸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 세균의 수많은 유전자 돌연변이체를 만들어 확인한 결과, 장내 세균의 특정 유전자들이 초파리 장내에서 인슐린 신호체계를 일으키는 기능을 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신승철·김성희 박사가 함께 참여한 이 연구 논문은 4일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실린다.
논문 저자인 신 박사는 “장내 미생물의 분포가 비만이나 당뇨병 같은 대사증후군에 연관돼 있다는 연구들은 있었지만 그동안 장내 세균과 생명체의 공생관계가 분자 수준에서 명확히 밝혀지진 못했다”며 “이번 연구가 앞으로 장내 미생물이 생명체의 대사에 끼치는 영향을 분명하게 밝히는 데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