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인간의 식량 탓…2050년이면 야생동물 90% 서식지 잃어”

등록 2020-12-25 10:15수정 2021-12-31 15:03

[이근영의 기상천외한 기후이야기]
인구 증가·식생활 변화 따른 농업 팽창 탓
1280종은 서식지 25% 이상 상실 전망
농업 팽창으로 2050년까지 서식지 일부라도 상실하는 야생동물이 90%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케냐 나이로비 시내를 배경으로 기린이 나이로비국립공원에 서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농업 팽창으로 2050년까지 서식지 일부라도 상실하는 야생동물이 90%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케냐 나이로비 시내를 배경으로 기린이 나이로비국립공원에 서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구 증가에 따른 농업 팽창으로 2050년까지 서식지를 일부라도 잃게 될 육상 야생동물이 90%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영국 리즈대와 옥스포드대 공동연구팀은 25일 <네이처 지속가능성>에 게재한 논문(DOI: 10.1038/s41893-020-00656-5)에서 “식량산업이 신속한 변혁을 꾀하고 사람들이 먹거리와 생산 방식을 바꾸지 않으면 향후 몇십년 안에 광범위한 생물 다양성 상실을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전 지구를 1.5×1.5㎞(2.25㎢)의 격자로 세밀하게 나눠 식량 체계가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 분석했다. 연구 결과 세계 곡물생산 면적은 2010년에 비해 2050년에 26%(335만㎢) 증가할 것으로 추산됐다. 웨스트아프리카, 리프트밸리(동아프리카 지구대), 사헬 남부 등 서브사하라 아프리카 지역의 농지 확장이 가장 클 것으로 분석됐고 중남미 지역이 뒤를 이었다. 반면 동유럽과 중앙아시아와 북부아시아(러시아 남부와 벨라루스 동부)에서는 인구 감소와 생산성 향상으로 경작지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또 이런 농업 팽창이 초래할 육상 야생동물 1만9859종(양서류 4003종, 조류 1만895종, 포유류 4961종)의 서식지 환경 변화도 예측했다. 분석 결과 2050년까지 전체 동물의 87.7%(1만7409종)가 일부 서식지를 잃을 것으로 예상됐다. 6.3%만이 변동 없고, 6.0%는 늘어날 것으로 나왔다.

특히 전체의 6.4%(1280종)는 25% 이상의 서식지를 상실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들 동물 가운데 980종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위기종으로 분류되지 않은 상태다. 347종은 서식지의 50%, 96종은 75%, 33종은 90%를 상실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들 가운데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돼 있는 경우는 각각 34%, 52%, 55%뿐이다.

“농업격차 해소 등 선제 대응하면 피해동물 2.6%로 줄어”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연구를 주도한 영국 리즈대의 데이비드 윌리엄스 교수는 “근본적인 변화 없이는 수백만㎢의 자연 서식지들이 2050년까지 사라질 것”이라며 “지구적 차원에서 자연을 살리려면 궁극적으로 우리가 먹는 것과 그것을 생산하는 방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논문의 또 다른 주저자인 옥스포드대 미래식량연구소 및 공중보건학과의 마이클 클라크 연구원은 “새로운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특정 생물 종들을 구제하기 위한 규정을 마련하는 등 전통적인 보존방법들도 필요하지만, 농업 팽창 같은 생물 다양성에 대한 본질적인 위협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연구팀은 생물 다양성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전략으로 네 가지를 제시했다. 세계 식량 생산성 격차 해소, 건강 식단으로의 전환, 식량 낭비와 음식쓰레기 줄이기, 식량 생산과 서식지 보호 균형을 맞춘 전 지구적 농지 이용 계획 등이다. 연구팀은 네 가지 전략을 동시에 잘 결합해 추진하면 2050년까지 세계 농지는 2010년에 비해 340만㎢, 현재 상태가 유지됐을 때와 견줘 670만㎢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연구팀은 “선제 대응 전략이 실현되면 25% 이상의 서식지를 잃을 것으로 추정되는 동물이 1280종에서 33종(2.6%)으로 줄어들 것”이라며 “하지만 그런데도 대다수 종(81.6%)이 조금이라도 서식지 상실을 겪을 것이기에 기존의 생물 다양성 보존 활동도 지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얼음위성 미란다 ‘지하 바다’ 품었나…생명체 존재 가능성 1.

얼음위성 미란다 ‘지하 바다’ 품었나…생명체 존재 가능성

지구 온난화에 숨어 있던 0.2도 찾아냈다 2.

지구 온난화에 숨어 있던 0.2도 찾아냈다

목조위성은 우주 쓰레기 걱정 덜어줄까 3.

목조위성은 우주 쓰레기 걱정 덜어줄까

과학자들이 꼽은 세계 5대 위험 4.

과학자들이 꼽은 세계 5대 위험

걷기 운동 효과 ‘하루 2300보’부터…7천보 이상이면 효과 ‘쑥’ 5.

걷기 운동 효과 ‘하루 2300보’부터…7천보 이상이면 효과 ‘쑥’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