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언스온 뉴스 플러스
사이언스 온 바로가기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식물은 씨앗을 더 많이 더 멀리 퍼트리는 여러 방법을 자신의 생명체에 최적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해 왔습니다. 동물의 먹잇감이 되거나 바람을 이용하거나 동물 몸에 달라붙어 씨앗을 널리 퍼뜨리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왔지요. 그런데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방법 하나가 바로 ‘튀는 빗방울을 이용한 번식 방법’입니다. ▲ 오늘 뉴스의 주인공은 바로 정글이나 사막에 사는 원뿔형 꽃 모양의 식물(splash-cup plant)들입니다. 이런 식물들은 평균 길이가 12 센티미터로 키 작은 식물입니다. 하지만 이 식물은 원뿔 형태의 꽃과 떨어지는 빗방울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해 식물 길이의 10배에 달하는 1 미터 이상 먼 곳까지 씨앗을 퍼트립니다. ● 원뿔형 꽃이 빗물을 퍼트리는 역학적인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미국 조지아공과대학의 유체학 연구자 길러모 애머도(Guillermo Amador)와 연구진은 빗방울 크기와 같은 4 밀리미터의 물방울을 실제 꽃 그리고 꽃과 같은 원뿔형의 모형에 떨어뜨려 고속카메라로 촬영했습니다. 카메라 영상을 분석해보니, 빗방울은 하강 속도의 대략 5배에 이르는 속도(시속 144 킬로미터가량)로 퍼져나갈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 왕립학회의 학술지(Journal of the Royal Society Interface)를 통해 발표되고 과학저널 <사이언스>의 뉴스를 통해 보도되었습니다. ★ 빗방울의 속도가 빨라져 물방울이 멀리 퍼져 나갈 수 있는 이유는 꽃 벽의 경사면과 꽃 내부의 비대칭 굴곡면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원뿔형 꽃 벽의 경사면은 물방울이 꽃에서 퍼져나갈 때 속도를 증가시킵니다. 연구 결과를 보면, 경사면의 각도가 40~45도일 때 물방울이 가장 멀리 퍼져 나간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합니다(아래 그림1). 또한 꽃의 비대칭 굴곡면은 물방울이 퍼져나가는 에너지를 한 방향으로 집중해 물방울이 한 방향으로 빠르게 튈 수 있게 합니다(아래 그림2). 실제로 대칭 굴곡면에서는 물방울이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되어 빗방울이 떨어질 때와 거의 같은 속도로 퍼져나갑니다.
■ 이런 물방울 튀는 현상으로 인해 씨앗은 빗물과 함께 분출되어 식물의 모체에서 벗어나 멀리 퍼져나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는 소나기가 잦은 지역이나 계절별로 우기가 찾아오는 지역, 또는 폭포 주변에서 서식하는 식물이 번식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 되었습니다. “과거의 연구 결과에서는 식물이 씨앗을 퍼트리기 위해 바람을 이용하도록 진화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이나 장애물이 많은 지면 근처에서 서식하는 식물이나, 바람을 충분히 이용할 만큼 개체의 길이가 길지 않은 식물은 빗물에 의존해 씨앗을 퍼뜨릴 전략이 필요했다.” 논문의 제1저자 길리모 애머도의 해설입니다.
사이언스 온 바로가기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김수현 직장인
과학의 정직함을 신뢰하는 사람, 재미있는 과학과 멋진 기술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전달하고 싶은 사람. 이메일 : cokesh@gmail.com <한겨레 인기기사>
■ 높은 투표율의 역설…박근혜의 승리 요인
■ [곽병찬 칼럼] 박 당선인이 갈 길, ‘사람이 먼저다’
■ 안철수 독자세력화 ‘새 그림’ 가능성
■ 10·26뒤 영욕의 세월…위기의 당 2번 살리며 대통령 되다
■ 경기·인천서 승전보…TK 몰표…충남·북서 추격 따돌려
■ ‘쥐어짜기’ 경영은 그만…대세는 ‘소통·힐링’
■ [화보] 개그맨 김경진, 투표소에서 머리감기 왜?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식물은 씨앗을 더 많이 더 멀리 퍼트리는 여러 방법을 자신의 생명체에 최적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해 왔습니다. 동물의 먹잇감이 되거나 바람을 이용하거나 동물 몸에 달라붙어 씨앗을 널리 퍼뜨리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왔지요. 그런데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방법 하나가 바로 ‘튀는 빗방울을 이용한 번식 방법’입니다. ▲ 오늘 뉴스의 주인공은 바로 정글이나 사막에 사는 원뿔형 꽃 모양의 식물(splash-cup plant)들입니다. 이런 식물들은 평균 길이가 12 센티미터로 키 작은 식물입니다. 하지만 이 식물은 원뿔 형태의 꽃과 떨어지는 빗방울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해 식물 길이의 10배에 달하는 1 미터 이상 먼 곳까지 씨앗을 퍼트립니다. ● 원뿔형 꽃이 빗물을 퍼트리는 역학적인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미국 조지아공과대학의 유체학 연구자 길러모 애머도(Guillermo Amador)와 연구진은 빗방울 크기와 같은 4 밀리미터의 물방울을 실제 꽃 그리고 꽃과 같은 원뿔형의 모형에 떨어뜨려 고속카메라로 촬영했습니다. 카메라 영상을 분석해보니, 빗방울은 하강 속도의 대략 5배에 이르는 속도(시속 144 킬로미터가량)로 퍼져나갈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 왕립학회의 학술지(Journal of the Royal Society Interface)를 통해 발표되고 과학저널 <사이언스>의 뉴스를 통해 보도되었습니다. ★ 빗방울의 속도가 빨라져 물방울이 멀리 퍼져 나갈 수 있는 이유는 꽃 벽의 경사면과 꽃 내부의 비대칭 굴곡면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원뿔형 꽃 벽의 경사면은 물방울이 꽃에서 퍼져나갈 때 속도를 증가시킵니다. 연구 결과를 보면, 경사면의 각도가 40~45도일 때 물방울이 가장 멀리 퍼져 나간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합니다(아래 그림1). 또한 꽃의 비대칭 굴곡면은 물방울이 퍼져나가는 에너지를 한 방향으로 집중해 물방울이 한 방향으로 빠르게 튈 수 있게 합니다(아래 그림2). 실제로 대칭 굴곡면에서는 물방울이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되어 빗방울이 떨어질 때와 거의 같은 속도로 퍼져나갑니다.
■ 이런 물방울 튀는 현상으로 인해 씨앗은 빗물과 함께 분출되어 식물의 모체에서 벗어나 멀리 퍼져나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는 소나기가 잦은 지역이나 계절별로 우기가 찾아오는 지역, 또는 폭포 주변에서 서식하는 식물이 번식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 되었습니다. “과거의 연구 결과에서는 식물이 씨앗을 퍼트리기 위해 바람을 이용하도록 진화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이나 장애물이 많은 지면 근처에서 서식하는 식물이나, 바람을 충분히 이용할 만큼 개체의 길이가 길지 않은 식물은 빗물에 의존해 씨앗을 퍼뜨릴 전략이 필요했다.” 논문의 제1저자 길리모 애머도의 해설입니다.
| |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김수현 직장인
과학의 정직함을 신뢰하는 사람, 재미있는 과학과 멋진 기술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전달하고 싶은 사람. 이메일 : cokesh@gmail.com <한겨레 인기기사>
■ 높은 투표율의 역설…박근혜의 승리 요인
■ [곽병찬 칼럼] 박 당선인이 갈 길, ‘사람이 먼저다’
■ 안철수 독자세력화 ‘새 그림’ 가능성
■ 10·26뒤 영욕의 세월…위기의 당 2번 살리며 대통령 되다
■ 경기·인천서 승전보…TK 몰표…충남·북서 추격 따돌려
■ ‘쥐어짜기’ 경영은 그만…대세는 ‘소통·힐링’
■ [화보] 개그맨 김경진, 투표소에서 머리감기 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