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기원 이광희 히거센터 부센터장
국내 연구진이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의 전기 전도도를 저해하는 원인을 20년 만에 밝혀냈다.
광주과기원 이광희(히거센터 부센터장)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19일 전도성 플라스틱의 전기 전도도를 제한하는 원인이 플라스틱을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증명했다고 밝혔다. 연구팀 논문은 물리학 분야 최고 권위지인 <피직스 리뷰 레터스> 최신호에 실렸다.
전도성 플라스틱은 가볍고 유연하면서도 금속처럼 전기를 통해 발광소자나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인공피부·장기 등에 활용할 후보물질로 각광을 받아왔지만, 금속과 달리 전기 전도도가 낮아 그 이유를 두고 논쟁을 해왔다. 노벨상 수상자인 앨런 히거 교수 등은 플라스틱을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 간의 경계가 주요 원인이라는 주장을 내놓은 반면 히거 교수의 제자인 아서 엡스타인 등은 전도성 플라스틱 물질을 알갱이(그레인)의 집합으로 보고 이 알갱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전기 전도도를 방해한다고 주장해왔다.
이근영 선임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LG ‘회장님폰’의 승부수…“스마트폰 판 뒤집겠다”
■ 19세기 고전 ‘소돔의 120일’이 음란물?
■ ‘조건만남’ 아저씨들은 제가 미성년자인거 알아요
■ “얼음없는 여름 북극 4년안에 볼수도”
■ 일본과 전쟁불사론까지…호전화하는 ‘중국굴기’
■ KBS·MBC ‘박근혜 감싸기’ 나섰나
■ [화보] 안철수 원장, 대선 출마 선언
■ LG ‘회장님폰’의 승부수…“스마트폰 판 뒤집겠다”
■ 19세기 고전 ‘소돔의 120일’이 음란물?
■ ‘조건만남’ 아저씨들은 제가 미성년자인거 알아요
■ “얼음없는 여름 북극 4년안에 볼수도”
■ 일본과 전쟁불사론까지…호전화하는 ‘중국굴기’
■ KBS·MBC ‘박근혜 감싸기’ 나섰나
■ [화보] 안철수 원장, 대선 출마 선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