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기술

신개념 항암제 개발원리 발견
백성희 서울대 교수팀 발표

등록 2012-10-15 19:46

백성희(42)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백성희(42)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국내 연구진이 단백질 분해 작용을 막아 암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작동 경로를 찾아내 암 진단과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길을 열었다.

백성희(42·사진)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15일 유방암과 대장암에서 특정 단백질이 암 억제 기능을 하는 단백질을 분해해 제거함으로써 암 진행을 촉진하는 작동 원리를 알아냈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논문은 생명과학 분야 권위지 <셀>의 자매지인 <몰레큘러 셀> 12일치 온라인 속보에 실렸다.

연구팀은 세포 안에서 단백질에 메틸기(-CH3)를 붙이는 기능을 하는 효소 ‘이제트에이치2’(EZH2)가 ‘아르오아르알파’(RORα) 단백질에 메틸기를 붙이면 분해가 촉진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아르오아르알파는 암 억제 기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근영 선임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이 “MBC지분 매각 극비리에”…최 “발표는 19일 꼭 해야”
[단독] MBC 이진숙 “정치적 임팩트 굉장히 큰 사안”
셧다운제 때문에 국제게임대회에서 패배?
“합의해라” “소문낸다” 협박당하기 일쑤…성범죄 친고죄, 피해자 두번 죽인다
안철수 첫 트위트 “웃어보죠 하하하”
히말라야 오지인이 호박잎에 싸준 점심
[화보] 주말에 억새풀 보러 갈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삐~ 삐~” 한밤 중 재난문자 알고 보니…충북 충주 3.1 지진 1.

“삐~ 삐~” 한밤 중 재난문자 알고 보니…충북 충주 3.1 지진

4억 톤 먼지 분출…소행성 베누가 불러올 지구 재앙 시나리오 2.

4억 톤 먼지 분출…소행성 베누가 불러올 지구 재앙 시나리오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3.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툭 튀어나온 사람의 귀, 물고기 ‘아가미 유전자’서 진화했다 4.

툭 튀어나온 사람의 귀, 물고기 ‘아가미 유전자’서 진화했다

고도 100km서 2분간 달 중력 비행 성공 5.

고도 100km서 2분간 달 중력 비행 성공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