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기 성균관대 아르엔에이아이(RNAi)신약개발 글로벌연구실 교수
이동기 성균관대 아르엔에이아이(RNAi) 신약개발 글로벌연구실 교수와 김소연 동국대 의생명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11일 췌장암을 조기 발견할 수 있는 신규 바이오마커인 ‘에이엘피피엘2’(ALPPL2) 단백질을 발굴해 논문이 암 분야 유명 학술지인 <캔서 리서치>에 실렸다고 밝혔다.
췌장암은 세계적으로 네번째로 발병률이 높은 암이지만 조기 발견을 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없어 완치율이 가장 낮은 편이었다. 연구팀은 핵산(디엔에이·아르엔에이)으로 이뤄져 있으면서도 항체와 유사하게 표적 물질에 높은 선택성과 강한 결합력을 가지는 물질인 ‘압타머’를 이용해 췌장암 세포의 표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에이엘피피엘2’ 단백질을 발굴해냈다.
에이엘피피엘2는 췌장암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기에 민감도 높은 영상진단을 위한 탐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혈액으로 분비되는 특성 때문에 향후 췌장암 체외진단 마커로도 활용될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돌고래 제돌이, 내달 제주 바다로 돌아간다
■ “사람 죽이고 싶다” SNS에 쓴 당신, 경찰에…
■ 박근혜 정부 첫 국무회의 참석한 박원순 시장, 표정이…
■ 골치덩어리 F-35 전투기, 어떻게 ‘대마불사’ 되었나
■ [화보] 쓰나미 당시 떠내려온 배가 아직도…
김소연 동국대 의생명공학과 교수
<한겨레 인기기사>
■ 돌고래 제돌이, 내달 제주 바다로 돌아간다
■ “사람 죽이고 싶다” SNS에 쓴 당신, 경찰에…
■ 박근혜 정부 첫 국무회의 참석한 박원순 시장, 표정이…
■ 골치덩어리 F-35 전투기, 어떻게 ‘대마불사’ 되었나
■ [화보] 쓰나미 당시 떠내려온 배가 아직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