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수소 상용차 3만대를 보급하고 수소 전문기업 600곳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새 정부 출범 첫 수소경제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새로운 수소경제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정책방향은 △규모·범위의 성장 △인프라·제도의 성장 △산업·기술의 성장 등 3대 성장 전략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우선 정부는 수소 상용차(2022년 기준 211대)를 2025년 5천대, 2030년 3만대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존재하지 않는 액화수소충전소는 2025년 40곳으로 확대하고 2030년에는 70곳까지 늘린다. 산업부는 “수소버스·트럭의 구매보조금을 확대하고, 지방정부 대상 수소버스·충전소 구축 지원 시범사업, 경찰버스의 수소버스 전환, 수소버스 취득세 감면 및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연장 등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수소버스 정부보조금은 기존 1억5천만원(시내버스), 2억원(광역버스)에서 내년에는 시내버스 2억1천만원, 광역버스 2억6천만원으로 확대된다.
또한, 산업부는 청정수소 발전 비중(2020년 0%)을 2030년 2.1%, 2036년 7.1%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산업부는 수소 50%, 암모니아 20% 이상의 혼소(2종류 이상의 연료를 연소) 발전을 위해 2027년까지 기술 개발과 실증을 완료하고, 2028년부터 혼소발전을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수소기업 발굴 및 지원 강화를 통해 현재 52곳인 수소 전문기업을 2030년까지 600개사로 육성한다는 목표도 제시됐다. 또한 산업부는 수전해(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를 비롯한 7대 전략분야 기술수준을 현재 선진국 대비 75%에서 2030년에는 100%로 늘리겠다고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현재 60%인 수전해 기술 국산화율을 2030년 100%까지 높이겠다고 밝혔다. 과기부 관계자는 “도전적이고 실패 위험이 높지만 성공 시 혁신적이고 파괴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미래형 수소 생산기술 지원 시 경쟁형 알앤디(R&D)를 도입하여 민간과 기술 성공여부의 불확실성을 분담하겠다”고 말했다.
기민도 기자
ke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