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기후변화협약 총회 30일 개막
198개 국가 및 기후환경단체 7만명
두바이서 ‘파리협정’ 이행 첫 점검
198개 국가 및 기후환경단체 7만명
두바이서 ‘파리협정’ 이행 첫 점검
폴란드의 전력회사 피지이(PGE)가 폴란드 로고비에츠에서 운영하고 있는 베우하투프(벨차토프) 발전소가 지난 22일(현지시각) 회색 연기를 뿜어내고 있다. 로고비에츠/로이터 연합뉴스
이산화탄소 배출량 세계 9위 한국
재생에너지 확대·화석연료 퇴출 계획은? “손실과 피해 기금에 대한민국이 돈을 내주면 좋겠다는 요청을 이미 받았습니다.”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 대사는 지난 22일 국회에서 열린 ‘제28차 당사국총회(COP28) 협상 전망과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한국에 기대되는 역할을 설명하다가 이런 사실을 밝혔다. 한국은 2015년 제21차 당사국총회 당시 체결된 ‘파리협정’에서 개발도상국(‘비부속서 Ⅰ’)으로 분류됐지만, 지금 한국을 개발도상국으로 여기는 나라는 어디에도 없다. 2023년 한국은 세계 10위권 경제국이자 주요 20개국(G20)에 속한 나라다. 게다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지난해 전세계 9위였다. 수많은 국가가 한국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재원 마련에 ‘책임’과 ‘역할’을 요구하는 이유다. 특히 이번 총회 의장국인 아랍에미리트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생산 능력을 3배로 확대하자’는 의제를 띄우고, 참가국들의 동참을 촉구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주범’으로 꼽히는 미국과 중국은 이미 지난 16일 이런 방안에 합의한 상황이다. 문제는, 한국이 G20 국가 가운데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 다음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낮다는 점이다. 조은별 기후솔루션 재생에너지인허가팀 연구원은 “선진국 반열에 오른 우리나라가 세계적 흐름을 거슬러 재생에너지를 확대하지 않고 있는 것은 국제적으로 지탄받을 일”이라고 했다. 정부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지점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지난 24일 “정부도 이 부분(재생에너지 생산 3배 확대에 합의)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한국은 이번 총회에서 ‘화석연료의 단계적 퇴출’에 대한 구체적 입장도 밝혀야 한다. 유럽연합(EU)은 이번 총회에서 화석연료의 단계적 퇴출 시기를 못박으려 하고 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 등은 이에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2년 전 열린 제26차 당사국총회에서 영국과 덴마크 등 34개국은 ‘해외 화석연료 부문에 대한 직접 투자를 끝내고, 청정에너지 전환 지원을 최우선 순위로 두자’는 내용의 ‘글래스고 선언’에 합의했지만, 한국은 이에 동참하지 않았다. 기민도 기자 key@hani.co.kr
재생에너지 확대·화석연료 퇴출 계획은? “손실과 피해 기금에 대한민국이 돈을 내주면 좋겠다는 요청을 이미 받았습니다.”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 대사는 지난 22일 국회에서 열린 ‘제28차 당사국총회(COP28) 협상 전망과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한국에 기대되는 역할을 설명하다가 이런 사실을 밝혔다. 한국은 2015년 제21차 당사국총회 당시 체결된 ‘파리협정’에서 개발도상국(‘비부속서 Ⅰ’)으로 분류됐지만, 지금 한국을 개발도상국으로 여기는 나라는 어디에도 없다. 2023년 한국은 세계 10위권 경제국이자 주요 20개국(G20)에 속한 나라다. 게다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지난해 전세계 9위였다. 수많은 국가가 한국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재원 마련에 ‘책임’과 ‘역할’을 요구하는 이유다. 특히 이번 총회 의장국인 아랍에미리트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생산 능력을 3배로 확대하자’는 의제를 띄우고, 참가국들의 동참을 촉구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주범’으로 꼽히는 미국과 중국은 이미 지난 16일 이런 방안에 합의한 상황이다. 문제는, 한국이 G20 국가 가운데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 다음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낮다는 점이다. 조은별 기후솔루션 재생에너지인허가팀 연구원은 “선진국 반열에 오른 우리나라가 세계적 흐름을 거슬러 재생에너지를 확대하지 않고 있는 것은 국제적으로 지탄받을 일”이라고 했다. 정부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지점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지난 24일 “정부도 이 부분(재생에너지 생산 3배 확대에 합의)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한국은 이번 총회에서 ‘화석연료의 단계적 퇴출’에 대한 구체적 입장도 밝혀야 한다. 유럽연합(EU)은 이번 총회에서 화석연료의 단계적 퇴출 시기를 못박으려 하고 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 등은 이에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2년 전 열린 제26차 당사국총회에서 영국과 덴마크 등 34개국은 ‘해외 화석연료 부문에 대한 직접 투자를 끝내고, 청정에너지 전환 지원을 최우선 순위로 두자’는 내용의 ‘글래스고 선언’에 합의했지만, 한국은 이에 동참하지 않았다. 기민도 기자 key@hani.co.kr
관련기사
이슈cop28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