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 하늘공원에서 바라본 도심이 안개와 미세먼지로 뿌옇게 보인다.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초미세먼지의 중국 영향과 관련한 한·중·일 3국의 공동연구 보고서가 나왔다. 중국 배출원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32%로 나왔는데, 연평균 수치여서 고농도 시기보다 10~20%가량 기여율이 낮았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은 한·중·일 3국의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국제공동연구(LTP)’ 결과를 토대로 이런 내용의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0일 밝혔다. 2000년부터 시작해 온 이 연구의 결과를 보고서 형태로 외부에 공표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보고서는 한·중·일 연구진이 각국 주요 도시(한국은 서울·대전·부산 3곳)에서 측정·분석해 산출한 도시별 초미세먼지 기여율을 산술 평균한 값을 담았다. 결과를 보면 2017년 한국의 연평균 초미세먼지 기여율은 자체 기여가 51%, 중국이 32%, 일본이 2%였다. 같은 해 중국은 자체가 91%, 한국 2%, 일본 1%였다. 일본은 자체 55%, 한국 8%, 중국 25%로 나왔다. 편서풍 지역인 동북아 서쪽에 위치한 중국에서 초미세먼지가 발생해 한국과 일본으로 흘러가고 있음을 3국 연구진이 함께 확인한 셈이다.
이번 발표는 연평균 수치만 공표돼 고농도 때 상황은 알 수 없다. 환경과학원 쪽은 고농도 시기의 경우 “과학원의 지난 발표를 참고하면 연평균보다 국외 기여율이 10~20%포인트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환경과학원은 고농도 시기였던 지난 1월11~15일 전국 미세먼지 국내·외 기여도가 각각 18~31%, 69~82%인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이번 발표에서 연평균 수치만을 공표한 데 대해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연중 평균 기여율 발표만을 합의했기 때문”이라며 “이 정도 합의도 쉽지 않았다”라고 설명했다.
한·중·일 과학자들은 지난 2000년부터 단계적으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연구를 추진해왔고, 4단계 연구 기간인 2013~2017년 초미세먼지에 대한 연구 결과까지 추가해 이번 보고서를 작성했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장기 관측 결과를 보면 3국 모두 황산화물(SO2)과 질소산화물(NO2),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모두 감소 추세에 있었다. 특히 초미세먼지 농도는 2015년 대비 지난해 농도가 한국은 12%, 중국은 22% 감소했다. 지난해 수치가 미확정 상태인 일본은 2015년 대비 2017년 농도가 12% 줄었다.
보고서 발표는 애초 지난해 예정돼 있었지만 “최신 자료를 반영하자”는 중국 쪽 이견에 따라 이날로 연기됐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과 리간제 중국 생태환경부 장관은 오는 23~24일 일본에서 열리는 21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전까지 보고서를 발간하기로 지난 2월 합의한 바 있다. 결과 발표는 공동연구 사무국인 한국에서 하기로 했고, 일본은 한국 발표와 동시에 해당 기관 누리집에 게재하고 중국은 별도 발표를 하지 않는다.
장윤석 원장은 “이번 보고서는 한·중·일 3국의 연구진이 공동으로 연구했고 3국 정부가 결과를 함께 검토해 발간한 최초의 보고서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