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왼쪽에서 두 번째)가 21일 오후 부산 강서구 대항전망대에서 가덕도신공항 예정지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지난 21일 부산 가덕도 신공항 부지 방문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오는 4월7일 김영춘 전 국회 사무총장이 민주당 후보로 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있죠. 민주당 소속이었던 오거돈 전 부산시장이 성추행 논란으로 사임한 뒤라 민주당으로서는 꼭 지키고 싶은 선거일 겁니다. ‘대선 후보’로 거론되는 이 대표가 ‘가덕 김영춘으로 불러달라’는 김 전 사무총장을 위해, 또 최근 오름세를 탄 여당 지지도에 불을 붙이기 위해 가덕도를 방문한 거죠. 이 대표는 이날 “부울경(부산·경남·울산)이 추구하는 메가시티가 성공하려면 가덕도 신공항이 꼭 필요하다”며 “우리 민주당과 문재인 정부는 있는 힘을 다해 가덕도 신공항의 조기 착공과 완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고, 다음달 임시국회 회기 내 특별법 처리도 약속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21일 오후 부산 강서구 대항전망대에서 부산시로부터 가덕도신공항에 대한 현황보고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표의 이날 방문 소식은 많은 언론사들이 기사로 그 현장을 남겨두었습니다. 가덕도 신공항 부지를 바라보는 이 대표의 사진과 함께였죠.
그런데 이 사진(기사 첫번째, 세번째 사진)에 숨은 비밀이 있습니다.
이 대표는 신공항이 보여줄 미래를 상징하듯 비행기 모형 앞에서 포즈를 취했습니다. 신공항이라는 경제 사업을 간절히 소망하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설치한 비행기였습니다. 비행기에 적힌 문장은 “우리는 살고 싶다”였습니다. 주민들의 바람일까요?
하지만 다른 사진을 보면 이 비행기의 실체(?)가 더 명확해집니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21일 오후 부산 강서구 대항전망대에서 가덕도신공항 예정지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방자치단체가 설치한 하얀 비행기 모형은 청년기후긴급행동 청년들의 신공항 특별법 반대 목소리를 전해줄 편지지가 되었다. 청년기후긴급행동 제공
‘신공항 vs 기후위기’라는 문구와 ‘NO PLANE NO PAIN’(비행기가 없으면 고통도 없다)이라는 절절한 구호가 적혀있습니다.
이 비행기는 지난해 11월26일 청년기후긴급행동 청년 3명이 여야 의원들이 앞다퉈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을 발의한 것에 비탄하며 가덕도를 찾아 '낙서'한 비행기 모형입니다.
지난해 11월26일 청년기후긴급행동 청년들이 부산 가덕도를 방문해 골판지를 활용한 피켓팅을 하고 있다. 청년기후긴급행동 제공
청년기후긴급행동 소속이자 기후변화청년모임 빅웨이브 회원으로 한겨레 유튜브 콘텐츠 ‘싸이렌’에 참여하고 있는 오지혁씨도 이날 현장에 있었다.
청년기후긴급행동 청년들이 가덕도에서 펼쳐보인 피켓팅과 비행기 모형에 메시지를 남긴 활동은 그들의 인스타그램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겨레> 기후변화팀에서 선보이는 유튜브 콘텐츠 ‘싸이렌-기후 침묵을 깨는 청년들의 말’는 지난해 12월30일 가덕도 신공항 건설이 부르는 환경 문제를 짚었고, 이 법을 발의한 한정애 환경부 장관에게 ‘분노의 레이저’를 쏘기도 했습니다.
청년기후긴급행동을 포함한 환경단체들은 신공항을 건설하면 비행기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로 기후위기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우려합니다. 또 깊이 20m에 달하는 가덕도 주변 바다를 매립해야 하는데 이로 인한 환경 파괴가 심할 것도 지적합니다. 완공된다고 해도 2018년 일본 오사카 인근을 덮친 태풍으로 간사이 공항이 침수되는 등 해수면 상승과 잦은 태풍으로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다고도 강조했습니다.
청년들은 2030년까지 석탄발전 운영을 중단하고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이지 않으면 기후위기로 인한 재난상황을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한다. 청년기후긴급행동 제작
가덕도의 미래는 어디로 향할까요. 이 대표 등 민주당은 다음달 임시국회에서 이 특별법을 통과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는 상황이죠. 한 장관이 대표발의한 여당의 신공항 특별법은 가덕도 신공항을 신속하게 건설하기 위해 예비타당성 조사 등 사전절차를 면제·단축하는 내용이 포함돼있습니다. 청년들은 미래 주도권을 쥔 여당 대표 뒤에 서있는 비행기에 적힌 “우리는 살고 싶다”는 문구를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합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