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9월2일 서울 을지로에 있는 국립중앙의료원의 의료진이 코로나19 음압격리병동에서 중증환자를 돌보고 있다. 김진수 선임기자
정부가 델타와 다른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유행 상황을 반영해 코로나19 중환자실 입실 기준 변경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코로나 증상이 경미한 암이나 응급수술 환자들이 중증 병상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데, 이후 호흡기 중증 환자가 늘 것을 감안해 이들에 대한 입실 기준을 손보려는 것이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3일 온라인 백브리핑에서 “국가감염병임상위원회가 오미크론 유행 상황에서 중환자실 입실 기준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현 상황을 보면 델타 변이 유행 당시와 비교해 중환자실 재원 기간이 더 짧고, 기저질환으로 인해 코로나19 중환자 병상에 입원하는 사례도 늘고 있기 때문이다. 박 반장은 “호흡기 관련 중증 환자보다 기저질환 집중 관리가 필요한 사람이 많다”며 “병상 효율성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입실 기준 변경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정부는 유행의 정점에서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2200∼2500명까지 나올 수 있고, 현재 확보한 중환자 병상과 준중환자 병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본다.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중환자 병상은 2744개, 준중증 병상은 3273개로, 이를 합치면 총 6017개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이를 언급하면서 “2000명까지는 안정적으로 대응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재훈 가천대 의대 교수(예방의학과)는 “정부가 준비하고 있는 중증병상수가 2500(병상) 정도로 나오니 큰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고 우려했다. “현재 재원 중환자는 760명으로 집계되지만 실제 사용하는 병상은 그 두배에 조금 못미치는 1376병상이고,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어쨌거나 병상 점유율은 실질 중환자보다 항상 높다”는 지적이다.
권지담 기자
gon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