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오전 서울 송파구 송파구청 상황실에서 직원들이 이날 발표된 코로나19 신규 확진과 누적 확진자를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22일 1000만명을 넘었다.(
▶관련기사: 2년 걸린 100만명 감염, 한 달 반 만에 1000만명선 넘었다) 지난달 100만명(2월6일 100만9688명)의 확진자가 발생하는 데는 2년 넘는 시간이 걸렸지만, 900만명이 더 감염되는 데는 두 달도 걸리지 않았다. ‘집단면역’에 도달하는 가파른 확진 증가세 과정에서 방역당국의 메시지는 혼란을 빚었고, 의료대응 역량은 준비가 부족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22일 0시 기준 하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5만3980명(국내 35만3934명, 해외유입 46명)으로 누적 확진자는 993만6540명이다. <연합뉴스>가 지방자치단체 자료를 집계한 결과, 이날 오후 9시까지 47만5276 명이 추가 확진되면서, 누적 확진자는 1000만명(1041만1816명) 을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숨은 확진자’까지 포함하면 실제 누적 확진자는 2배 가량 더 많을 것으로 분석한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교수(예방의학과)는 “확진된 사람만큼의 감염규모가 더 있을 거라는 것은 전 세계적인 데이터를 보더라도 거의 자명한 사실”이라며 “전 국민의 20%가 확진됐으니 40% 정도 자연면역을 획득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가파르게 확진자와 사망자가 느는 상황에서 방역당국의 메시지는 ‘완화 기조’를 유지했다. 지난달 방역당국은 “계절 독감과 유사한 일상적 방역·의료체계로의 전환 가능성을 본격 검토한다”(2월4일 브리핑)거나, 오미크론을 두고 “풍토병적인 관리체계로 전환하기 시작한 초입 단계”(2월 22일 브리핑)라고 평가했다. 이후에도 접종완료자를 두고 “계절독감”이라는 언급은 이어졌다. 오미크론이 델타바이러스보다 중증도는 낮지만, 독감에 비해 치명률이 높을 것으로 평가되는 상황에서 확진 규모를 더 키울 수 있는 신호를 줬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또 지난달 18일과 이달 4일 영업시간을 각각 밤 10시, 11시로 완화했고 지난 18일에는 사적모임 제한을 8인으로 완화했다. 방역당국의 “독감” 언급과 ‘방역 완화’ 기조는 최근 주간 사망자가 2247명, 하루 평균 321명이 나오는 상황이 초래되며 무색해지고 있다. 또한 최근 지난주(3.11~3.17) 사망자(1835명)가 많아지며, 이송 중 이거나 재택치료를 받는 등 병원 문턱에도 가보지 못하고 41명이 숨졌다.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교수(호흡기내과)는 “확진자가 많이 나오면 사망자도 늘어난다는 이야기를 안하고, ‘풍토병의 입구에서 들어왔다’는 쪽으로 가볍다고 말했던 것이 문제였다. ‘차라리 걸리는 게 낫겠다’라는 사람이 나올 정도였다”면서 “아무리 가벼운 병도 숫자가 늘면 사망자가 더 는다는 이야기를 시민들에게 했어야 한다. 그리고 오미크론은 치명률이 독감보다도 훨씬 세다고 보지만, 치명률이 같다고 쳐도 독감보다 10배 더 퍼지는 병”이라고 언급했다. 정부가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 의사결정을 하더라도 질병의 심각성을 함께 이야기했어야 한다는 얘기다.
의료체계 준비도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현장 의료인력은 여전히 인력난이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교수(감염내과)는 “상대적으로 적은 인력으로 많은 환자를 보는 시스템이다. 신종 감염병이 유행할 때 꼼짝달싹을 못하는 구조다. 단기적으로 인력을 충원하니, 오히려 사직자들이 더 나오는 악순환이 계속된다”면서 “평시 인력이 충분히 유지돼야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부가 확보했다고 밝히는 병상들은 높은 수준의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상급종합병원, 대학병원이 아닌 곳에서 운영하는 중증 병상도 합한 숫자이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감염병을 전공으로 하는 대학병원급이 아니면 중환자를 보기 어렵다고 봐야 한다”면서 “감염병은 처음부터 수지타산이 안맞는 병이이어서, 대학병원조차 중환자실이나 인력 운영을 최소한도로 해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준비한 병상은 이날 기준 2823개인데, 67.8%가 가동 중이다.
오미크론 체계로 전환할 때 행정적 여력의 ‘선택과 집중’에 대한 논의도 빠른 시기에 매끄럽게 이뤄졌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건희 경기도감염병관리단장은 “코로나19 대응은 확진자를 격리하는 ‘방역대응’, 확진환자의 건강피해를 줄이는 ‘의료대응’ 문제가 있다. 확진자 증가가 예상되는 2월 초 방역대응과 함께 의료대응 대책이 제대로 논의됐어야 한다“면서 “앞으로 한달 간도 요양원과 요양병원 환자 관리도 중요하다. 건강한 환자에게 드는 행정력을 고위험군 환자에게 분배할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 권지담 기자
gon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