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회 세계 실종 아동의 날을 하루 앞둔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내자동 서울경찰청 어린이집에서 찾아가는 지문사전등록 캠페인이 열려, 한 어린이가 지문등록을 하고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해마다 실종아동 신고수는 2만건가량으로 그중 99%는 1년 안에 가족을 찾았지만, 1년이 지나도록 가족 품에 돌아가지 못한 아동도 871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제16회 실종아동의 날’을 맞아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국내 실종아동 신고는 2018년 2만1980건에서 2020년 1만9146건으로 줄었다. 2021년 2만1379건으로 다시 증가했다. 올해 4월까지는 7580건이었다. 연간 실종아동 발견율은 2019년 99.4%, 2020년 99.5%, 지난해 99.4%, 올해(4월 기준) 99.8%로 집계됐다. 하지만 여전히 실종 아동 규모는 적지 않다. 실종된 지 1년이 넘도록 찾지 못한 사례는 누적 871건(2022년 4월 기준)이었다.
정부는 아동 실종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해 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실종아동법)에 따라 지문 등 사전등록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2012년부터 도입된 지문 등 사전등록제도는 보호자가 혹시 모를 실종 사건에 대비해 아동 지문·사진, 보호자 연락처를 경찰 정보시스템에 등록하는 방식이다. 등록 대상은 18살 미만 아동, 지적·자폐·정신장애인, 치매 환자 등이다. 등록률은 아동 59.6%, 장애인 28.8%, 치매 환자 32.4%에 그친다. 제도 실효성을 높일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2004년부터 장기실종 아동을 찾기 위해 보호시설 등 무연고 아동과 실종자 가족의 유전자 정보를 상호 대조하는 유전자분석 사업을 하고 있다. 1979년 아버지와 외출했다 길을 잃고 결국 국외로 입양된 ㄱ씨는 이러한 제도를 통해 43년 만에 가족과 상봉했다. 부모를 찾기 위해 한국 경찰에 유전자 등록을 했는데, 2013년 어머니도 딸을 찾기 위해 유전자 등록을 해둔 것이다.
이날 조규홍 복지부 제1차관은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열린 ‘실종아동의 날 행사’에서 “실종아동 찾기는 일반 시민들의 신고와 제보가 중요한 만큼, 국민 여러분께서도 오늘을 계기로 주위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했다. ‘세계 실종아동의 날(5월 25일)’은 미국 뉴욕에서 6살 아동이 등교 중 유괴된 뒤 숨진 사건(1979년)을 계기로 1983년 미국에서 처음 제정됐으며 한국은 2007년부터 5월 25일을 실종아동의 날로 정해 실종아동 문제에 대한 민·관의 협업과 시민 참여를 촉구하는 행사를 열고 있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