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오후 서울역 광장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내일(1일)부터 재택치료자 가운데 만 60살 이상 고연령층 등 고위험군을 집중관리군으로 분류해 격리기간 동안 하루 1회 전화로 모니터링하던 제도가 폐지된다. 정부는 고위험군이 원할 때 진료를 받을 수 있고 먹는 치료제 처방도 쉬워졌기에 이뤄진 조처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러한 제도가 없어짐에 따라 집에 머물고 있던 코로나19 고위험군이 제때 적정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어 보완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31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설명을 들어보면, 1일부터 재택치료자를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으로 나누어 관리하던 제도를 없앤다. 코로나19에 걸려 재택치료를 받는 만 60살 이상, 면역저하자 가운데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사람이 집중관리군으로 분류됐다. 정부는 이러한 집중관리군을 나머지 일반관리군과 구분해, 하루 한차례 전화 모니터링을 하고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비대면 진료를 시행했다. 이러한 제도 폐지에 따라, 8월1일 코로나19 검사(검체 채취)로 확진된 재택치료자부터 집중관리군 분류와 건강 모니터링이 시행되지 않는다. 31일 기준 재택치료자는 전날보다 2만4409명 늘어난 49만36명이다. 그중 집중관리군은 2만1958(4.48%)명이다.
정부가 집중관리군 모니터링을 없애기로 한 까닭은 “환자가 원할 때 대면·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고, 먹는 치료제 처방도 받을 수 있다”는 이유다. 29일 기준 먹는 치료제 재고는 75만5000여명분으로, 정부는 현재 보유량으로 오는 10월까지 고위험군 투여가 가능하다고 본다.
그러나 정부 예측보다 재유행 시작이 빨라지면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도 늘고 있다. 31일 0시 기준, 위중증 환자는 하루 사이 42명이 늘어 284명으로 집계됐다. 29일 위중증 환자가 63일 만에 200명대에 들어선 뒤 3일 연속 200명대다. 최근 1주간 위중증 환자 수는 144명→168명→177명→196명→234명→242명→284명이었다. 7월4~10일 일주일 동안 일일 평균 사망자는 10.4명이었으나 7월25~31일엔 일일 평균 24.9명으로 2배 이상 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집중관리군 모니터링을 폐지하면 고령층 등 고위험군이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인명 피해가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대해 정부는 재택치료자가 171개 의료상담센터에 전화를 걸어 24시간 상담·처방을 받을 수 있고, 119에 전화하면 병원 이송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혁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교수(진단검사의학)는 “고위험군의 경우 본인은 괜찮다고 느끼지만 실제로는 중증화가 꽤 진행된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고위험군 집중관리를 했던 것”이라며 “본인이 느끼는 증상에 따라 치료를 받는다면 (인명) 피해가 좀 더 커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미생물학)도 “고령 확진자가 병원에 가려면 전화나 인터넷으로 알아봐야 하는데, 이게 쉽게 될까”라며 “확진 초기에 팍스로비드 처방을 해야 하는데, 그게 안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러한 우려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고위험군 관리 인력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윤영덕 서울 중구보건소장은 “기초 역학조사를 통해 동거인이 없는 70~80대 어르신을 파악해 모니터링을 하고, 필요한 경우 외래·입원을 안내하려고 준비 중”이라며 “(고령층의 경우) 대면 진료기관이 어디 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재택치료 중인 고위험군의 병원 이송 체계를 점검하고 이를 더 강화할 필요도 있다. 신준호 전남대 의대 교수(예방의학)는 “집중관리군 제도 폐지는, 재택치료자에게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병원으로 이송해 치료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며 “증상이 심한 사람을 제때 입원시킬 수 있는지 충분히 점검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교수(예방의학)는 “(주민센터나 보건소 같은) 공공기관 어디든 전화를 하면 고위험군이 갈 수 있는 의료기관을 수소문하는 체계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30일 오미크론 변이 ‘BA.2.75’(켄타우로스) 국내 확진자가 3명 추가돼 모두 7명으로 늘었다. 추가 확진자는 인도(1명)·베트남(2명)에서 입국한 내국인으로, 모두 증상이 경미해 재택치료 중이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 장현은 기자
mix@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