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14일 서울의료원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확진자를 병실로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한 달 만에 8배 늘어나며 심상치 않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금이 유행의 정점 구간이며 1∼2주 내로 위중증 환자 정점이 올 수 있다고 보고, 고위험군에 대한 먹는 치료제 적극 처방과 응급 이송 체계 점검 등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5일 0시 기준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521명이라고 밝혔다. 전날 512명에 이어 이틀 연속 500명대로, 지난 4월29일 526명 이후로 108일 만에 가장 많았다. 한 달 전인 7월15일 65명과 비교하면 8.01배 많다. 이날 하루 신규 확진자는 6만2078명(국내 발생 6만1682명, 해외유입 396명)으로 전날 대비 5만7525명 적지만, 지난주 월요일 5만5262명에 견줘 1.12배 증가했다.
특히, 여름 휴가철과 광복절 연휴에 감염자는 늘고 검사자는 줄어든 탓에, 개학 등 일상 복귀가 본격화되는 이번주 확진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방역당국은 8월 중 20만명 안팎의 일일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교수(예방의학과)는 “확진자는 이미 정점 구간에 접어든 상태이며, 광복절 연휴가 끝난 16∼17일 정도에 확진자가 가장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통상 확진자 유행 수준과 1∼2주 시차를 두고 움직이는 위중증 환자 규모도 8월말∼9월초께 정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정 교수는 “다다음주까지는 위중증 환자가 계속 증가해, 1천명 규모 아래까지는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병상 상황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병상 가동률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 응급 이송 체계 미비나 의료진 부족 등 의료 대응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오후 5시를 기준으로 전국 중환자 전담치료 병상 가동률은 45.0%(1790개 중 805개 사용)다. 1주 전 40.3%보다 약 5%포인트, 2주 전 29.9%보다 약 15%포인트가량 증가했다. 전국 준-중증 병상 가동률은 65.3%(3039개 중 1985개 사용)다. 강원 지역은 중환자 전담치료 병상 46개 중 29개를 사용해, 병상 가동률이 63.0%에 달한다.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교수(감염내과)는 “병상 숫자는 확보가 되어 있더라도, 지역별로 이송 체계와 병상 배정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으면 제때 병상 배치를 할 수 없어 위중증·사망자 증가를 막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재갑 한림대 의대 교수(감염내과)는 “입원이 필요한 고위험군 환자들이 응급실을 거치지 않고 입원하는 패스트 트랙을 만들어야 한다”며 “현재 수도권 병원의 응급실이 20만∼30만 확진자가 나올 때 처럼 대기자가 많고, 제 기능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60살 이상 고령층 등 고위험군에게 신속하게 먹는 치료제를 투약하고, 응급 상황 발생시 곧바로 입원 치료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고령층 감염자가 늘고 4차 접종률이 늘지 않는 상황에서, 위중증·사망자를 줄이려면 먹는 치료제 처방을 확대해야 한다. 하지만 8월 1주 기준 60살 이상 확진자를 대상으로 먹는 치료제를 투여한 비율은 18.7%에 머물렀다. 팍스로비드는 함께 사용할 수 없는 약물(병용 금지약물)이 20여가지나 되고, 먹는 치료제에 대한 임상 정보가 부족한 의료진이 환자에게 처방을 꺼리는 경향도 나타나기 때문이다. 백 교수는 “고위험군에 더 적극적으로 먹는 치료제를 처방하고, 모니터링도 강화해 위중증으로 가는 걸 막아야 한다”며 “지난 1일 재택치료 집중관리군 폐지 이후 취약계층에 대한 초기 격리나 전원 등이 잘 이뤄지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유행 규모 증가에 따라 ‘외래진료 연계형’ 생활치료센터를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생활치료센터는 코로나19 경증·무증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생활 및 치료 지원 시설로, 방역당국은 일반 의료체계 도입에 따라 지난 4월부터 단계적으로 대다수 생활치료센터를 감축한 바 있다. 14일 오후 5시 기준 전국 생활치료센터 병상은 총 116개만 남아있으며, 해외 입국자 등이 사용하고 있다.
중수본은 의료진이 상주하고 200개 이상의 대규모 시설로 구성된 이전 생활치료센터와 달리, 보건소 직원이 입소자를 관리하며 외부 병·의원에 진료를 연계하는 소규모 시설 형태로 운영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확진자가 10만명이 넘어갔을 때부터, 각 시·도별로 생활치료센터 예비 시설은 이미 확보가 됐다”며 “외래진료형 생활치료센터 방식에 대해 내부 아이디어가 나와서 지자체에 수요조사 및 의견 수렴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장현은 기자
mix@hani.co.kr 권지담 기자
gon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