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의료·건강

코로나19, 그 악몽 같았던 40개월의 기록

등록 2023-05-11 21:53수정 2023-05-12 01:22

정부가 6월부터 코로나19 위기 경보를 ‘심각’에서 ‘경계’로 조정하기로 결정한 11일, 서울 중구 보건소 선별진료소 대기 공간에 ‘덕분에’ 그림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6월부터 코로나19 위기 경보를 ‘심각’에서 ‘경계’로 조정하기로 결정한 11일, 서울 중구 보건소 선별진료소 대기 공간에 ‘덕분에’ 그림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한국 사회는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고 계절 독감처럼 관리하겠다는 정부의 선언이 나오기까지 7차례 크고 작은 유행을 겪었다. 전체 인구의 61%인 3135만1686명(11일 0시 기준)이 한번 이상 코로나19를 겪었는데, 유행 때마다 피해는 취약계층을 파고들었다.

방역당국이 해외 입국자 중 첫 국내 확진자를 발견한 2020년, 대구·경북 종교시설과 수도권 다중이용시설 관련 집단감염 형태로 1·2차 유행이 발생했다. 정부는 유행 억제를 위해 그때부터 지난해 4월18일까지 ‘사회적 거리두기’를 활용했다. 집합·모임 금지 등으로 사람 간 접촉 자체를 차단하는 이런 전략으로 전세계적으로 낮은 치명률이란 효과를 거뒀지만, 영업제한으로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경제적 피해가 컸다. 거리두기가 해제된 뒤인 지난해 6월 금융감독원 자료를 보면, 3곳 이상에서 빚을 낸 다중채무 개인사업자는 코로나19 유행 직전인 2019년 말보다 3.2배 증가한 41만4964명이었다. 경제적 지원 없인 다음 신종 감염병이 등장했을 때 주요 감염병 대응 수단인 사회적 참여를 끌어내기 어렵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국에서 유행한 건, 2020년 11월부터 2021년 7월까지 3차 유행 때였다. 2021년 2월부터 국내에서도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이 고위험군과 의료진을 중심으로 시작되면서 중증·사망 피해를 줄였지만, 이때부터 각종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이전까지 세자릿수였던 하루 최대 확진자 수가 처음 1천명을 넘었다. 확진자 급증은 병상 부족으로 이어졌다. 정부는 2020년 12월 중증환자를 진료할 병실이 부족하자, 대형 병원 등 상급종합병원과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중증환자를 수용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2020년 기준 인구 1천명당 의사(2.5명)와 간호사(8.4명) 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3.7명과 9.7명)에 못 미치는 상황에서, 의료진의 번아웃도 본격화했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의 ‘코로나19가 의사의 번아웃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보면, 코로나19를 거쳐 오면서 의사 40% 이상이 번아웃 증상을 호소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전공의는 열에 여섯가량이 번아웃 증상으로 고통받았다는 답이 나왔다.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델타와 오미크론 등 전파력과 면역 회피력이 강한 변이 바이러스가 등장한 4차 유행 때 규모가 급증했다. 오미크론 변이가 처음 유행한 지난해 3월엔 역대 하루 최다인 62만명의 확진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즈음 높은 백신 접종률과 낮은 치명률을 근거로 일상 회복이 시작됐지만, 60살 이상 고령층 등 고위험군 피해는 되레 커졌다. 지난해 1~6월 5차 유행 때, 60대 이상의 10만명당 사망률은 137.4명으로 2020~2021년 44.6명에 견줘 3.1배로 늘었다.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김건희 파우치’ 박장범, ‘대통령 술친구’ 박민 제쳤다 1.

‘김건희 파우치’ 박장범, ‘대통령 술친구’ 박민 제쳤다

법원, ‘36주 임신중지’ 여성 수술 병원장·집도의 구속영장 기각 2.

법원, ‘36주 임신중지’ 여성 수술 병원장·집도의 구속영장 기각

KBS 사장 후보에 ‘김건희 디올백은 파우치’ 박장범 3.

KBS 사장 후보에 ‘김건희 디올백은 파우치’ 박장범

정부 꾸짖은 대법관 “장애인은 집에서 온라인 쇼핑만하라는 거냐” 4.

정부 꾸짖은 대법관 “장애인은 집에서 온라인 쇼핑만하라는 거냐”

‘몰카’ 아저씨 스토커 잡고보니…‘간첩몰이’ 국정원 직원이었다 5.

‘몰카’ 아저씨 스토커 잡고보니…‘간첩몰이’ 국정원 직원이었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