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숙(가명)씨는 40대 비혼 여성으로 학원에서 파트타임으로 초등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학생들을 가르칠 때 현숙씨는 가장 즐거웠고 수입도 혼자 지내는 데 문제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현숙씨에게는 돌봐야 할 가족들이 있습니다. 현숙씨의 부모는 모두 치매 환자입니다. 아버지의 치매는 10년 됐습니다. 아버지는 집 밖으로 나가면 길을 잃었기 때문에 항상 현숙씨가 챙겨야 했습니다. 아버지가 밤에 말없이 혼자 나가고 돌아오지 않아 경찰에 신고해 찾아오는 일도 있었습니다. 오랜 기간 어머니가 아버지를 돌봤지만 작년부터는 어머니가 우울해하고 조금씩 기억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더니 어머니도 결국 치매로 진단됐습니다. 그때부터 어머니의 간병도 현숙씨의 몫이 되었습니다.
현숙씨에게는 오빠가 한 명 있습니다. 오빠는 결혼해서 따로 살고 있는데 부모님을 돌보는 데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고 있습니다. 현숙씨가 “나도 더는 혼자 버티기 힘들고 내 인생도 찾고 싶어”라고 이야기를 하면 오빠는 “지금까지 잘하고 있는데 왜 그러냐. 너 아니면 부모님이 힘들어할 거다”라고 답을 합니다. 오빠는 간병 비용도 ‘나 몰라라’ 하고 있습니다. 현숙씨는 언제까지 혼자 부모님을 돌봐야 할지 기약도 없는 상황입니다.
현숙씨네 집에는 매일 일정한 시간에 두 분을 돌보기 위해 요양보호사가 방문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부터 아버지는 요양보호사가 물건을 훔친다며 의심하고 화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찾아오는 요양보호사마다 견디지 못해 그만두면서 결국 새 요양보호사를 구할 수 없게 됐습니다. 현숙씨가 감당해야 할 부담은 더욱 커졌습니다. 아버지는 밤에 잠에서 자주 깨어 화장실을 자주 가고, 가기 전에 실수를 하는 경우도 있어 옷도 갈아입혀야 했습니다. 현숙씨는 깊이 잠들기도 어려웠습니다.
현숙씨는 마음에 드는 이성이 있어도 자신의 처지를 생각하면 차마 만날 엄두를 내지 못합니다. 지인들에게 간병 이야기를 꺼내면 힘들겠다며 공감해주지만 그 일을 도와줄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냉장고에 무엇을 가지러 갔다가 기억이 나지 않는 일을 겪으면 ‘나도 치매에 걸리지 않을까’라고 걱정하게 됩니다. ‘얼굴에 그늘이 있어 보인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게 됐습니다.
현숙씨는 오빠에게 부모님을 요양원으로 보내자는 이야기를 꺼내 보았습니다. 오빠는 펄쩍 뛰면서 ‘그런 불효를 할 수는 없다’고 했습니다. 현숙씨는 자신의 처지가 슬퍼서 눈물이 나왔습니다. 독립하고 싶어도 자신의 수입이 모두 부모님 간병과 생활비로 쓰이고 있어 모아둔 자금도 없었습니다. 이제는 더 이상 견디기 힘들다는 생각이 들었고 당장 집에서 도망치고 싶다는 생각과 심한 우울감이 몰려왔습니다. 부모님은 가끔 현숙씨를 알아보지 못할 때도 있습니다. 대화가 되지 않고 같은 말을 계속 반복하기 때문에 정서적인 교류도 되지 않았습니다. 더 화가 나는 점은 어머니가 현숙씨만 보면 “빨리 시집 좀 가라. 니가 그 모양이니 아직 남자도 못 찾고 있지”라고 중얼거리는 것이었습니다.
☞한겨레S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세요. 클릭하시면 에스레터 신청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한겨레신문을 정기구독해주세요. 클릭하시면 정기구독 신청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현숙씨는 부모님을 모시고 치매를 진료하는 정신건강의학과 담당 전문의를 찾았습니다. 현숙씨도 심한 우울감과 불면증을 겪고 있어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다행히 현숙씨는 뇌 자기공명영상과 기억력 검사에서 치매로 볼 수 있는 소견은 없어서 안심할 수 있었습니다. ‘멜랑콜리아형 주요우울증’으로 진단됐고 이로 인해 의욕 저하와 집중력 저하가 발생한 것이었습니다.
멜랑콜리아형 주요우울증은 즐거움의 상실, 체중 감소, 식욕 저하, 불면증, 죄책감을 특징으로 합니다. 오전에 증상이 더 심해지는데 아침에 일어나면 몹시 무기력하고 아무것도 하기 싫어집니다. 집중력 저하로 방금 들은 것을 잊어버리거나 무엇을 하러 갔는지 기억하지 못하는 때도 있습니다. 치매와는 달라서 방향감각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우울증도 치매와 같이 기억력 저하를 부르지만, 자기 집을 못 찾아오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를 미리 복용하는 것도 추천하지 않습니다. 치매가 아닌데 치매 치료제를 미리 복용하면 불면증과 구역, 구토, 설사,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모 모두 치매라 자신도 치매가 올까 걱정하면서 현숙씨가 치매 약물을 미리 복용한다 해도 치매 예방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현숙씨 아버지가 요양보호사에게 보이는 피해망상은 약물로 치료됐습니다. 피해망상은 치매의 경과 중에 흔히 보이는 증상의 하나입니다. 이런 정신행동증상으로는 성격 변화, 무감동, 우울, 불안, 망상, 환각, 배회, 공격성, 자극 과민성, 이상 행동, 식이 변화, 수면 장애 등이 있습니다. 치매 진단을 받은 뒤 반년이나 1년에 한 번씩 진료를 보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게 하면 증상을 놓칠 수 있습니다. 3~4개월에 한 번은 담당 의사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치매는 치료가 잘 안되는 병이지만 경과 중에 보이는 정신행동증상을 잘 관리하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정신행동증상이 악화하면 가족들이나 간병인도 힘들지만 환자 자신도 불안·초조·불면으로 힘들게 됩니다.
현숙씨는 우울증이 치료되면서 이전보다 의욕이 생기고 잠도 잘 이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숙씨 부모님도 약물 치료를 통해 치매 정신행동증상이 줄어들면서 편하게 잠을 자고 피해망상도 없어졌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도 신청했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이란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가사활동 등을 지원하는 사회보장제도입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덕에 낮에는 부모님 두분이 보건소의 도움으로 치매 주간보호센터를 다니면서 현숙씨의 부담도 많이 줄었습니다. 현숙씨는 이제 학원에서 학생들을 잘 가르치면서 보람을 느끼고 있고 우울한 기분도 많이 호전됐습니다. 현숙씨와 같은 ‘독박 간병’이 자식 세대에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간병으로 결혼하지 못하고 직업을 제대로 유지하기 힘든 분들을 위해 도움이 필요합니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책
‘매우 예민한 사람들을 위한 상담소’를 썼습니다. 글에 나오는 사례는 특정인을 지칭하지 않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여러 경우를 통합해서 만들었습니다. 자세한 것은 전문의와의 상담과 진료가 필요하며, 쉽게 자가 진단을 하거나 의학적 판단을 하지 않도록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