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상 사고는 오히려 빙판길보다 집에서 당하는 경우가 많다. 낙상 사고를 예방하려면 집안 곳곳에 손잡이를 설치 해두는 것이 좋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건강] 겨울철 낙상 사고 유의
눈이 내려 미끄러운 겨울이면 가장 조심해야 할 건강 문제 가운데 하나가 바로 낙상이다. 특히 뼈를 구성하고 단단하게 만드는 칼슘이 많이 빠져나가 골다공증이 있는 노인은 낙상이 생기면 뼈가 잘 부러질 뿐만 아니라 치유되는 데도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 때문에 눈이 많이 내린 뒤 빙판길을 다닐 때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아예 나서지 않도록 권유하기도 한다. 하지만 노인들을 비롯해 젊은이들도 낙상이 일어나는 대부분의 장소가 실내라는 전문의들의 지적도 있다. 겨울철의 빙판만 주의해서는 낙상을 피해가기 힘들다는 말이다. 관련 전문의들은 실내에서도 넘어지지 않도록 여러 환경 정비를 해야 하며, 겨울에도 실내 운동을 통해 뼈와 근육의 힘을 키워야 낙상 및 골절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실내 골절 사고도 많아
넘어져서 생기는 뼈의 골절이 큰 문제가 되는 사람은 젊은이보다는 주로 노인이다. 나이가 들면서 뼈를 지탱해주는 근육이나 인대의 힘이 약한데다가 골다공증 등으로 뼈 자체도 부러지기 쉬운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노인들은 시력도 나쁘고 몸의 동작이 느려 같이 넘어졌다고 해도 젊은이들에 견줘 대처가 늦어져 더 큰 골절을 입기도 한다. 이처럼 노인들에게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낙상으로 인한 골절은 빙판길에서만 주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노인들의 경우 밤에 일어나 화장실에 가다가 문지방에 걸리거나 침대에서 전화를 받으러 내려오다 넘어지기도 한다는 것이다. 또 방바닥에 있는 이불 끝자락을 밟다 미끄러지거나 청소기의 전깃줄에 걸려 넘어져 골절이 생기기도 한다. 유정준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이처럼 실내에서 넘어져 골절이 생기는 현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미국정형외과학회에서 발표한 보고를 보면 대부분의 낙상 사고는 집 안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돼 있다”고 말했다. 겨울철에는 특히 실내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아 골절 사고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는 설명도 있다.
낙상 사고 대부분 실내서 발생
노인 엉덩관절 골절 회복 어려워
화장실·욕조 바닥 미끄럼 방지
문지방 없애고 전깃줄 정돈 필요 엉덩이 관절 골절 사고는 치명적 노인들의 골절 가운데 특히 엉덩이 관절의 골절은 10명 가운데 9명가량이 넘어져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제는 이 관절의 골절은 치료가 잘된 뒤에도 환자의 절반가량은 사고 이전에 견줘 정상적으로 걸을 수 없게 되고, 사고 뒤 1년 안에 사망할 가능성도 25%나 된다. 서구에서는 폐경이 지난 여성들 7명 가운데 1명가량이 엉덩이 관절의 골절을 겪을 정도로 흔한 것으로 보고돼 있다. 실내외를 막론하고 넘어졌을 때 자주 생겨 사고 뒤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문지방 등 넘어질 만한 환경 치워야 실내에서 넘어져 생기는 골절 사고는 실내 환경을 잘 정비하면 예방이 상당 부분 가능해진다. 우선 자주 걸려 넘어지는 문지방은 가능하면 없애야 한다. 전기 기구의 전깃줄은 잘 정돈해서 발에 걸리지 않도록 해야 하며, 특히 이불이나 카펫 밑에 전깃줄을 감춰 두는 것은 금해야 한다. 무릎 높이보다 낮은 탁자나 잡지꽂이, 화분 등은 발에 잘 걸릴 수 있으므로 사람이 움직이는 통로에는 두지 않아야 한다. 침실의 경우 전화기는 쉽게 손에 닿는 곳에 두고 잠자리 근처에는 작은 조명을 켜 두는 것이 좋다. 화장실이나 욕실은 낙상 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곳이다. 바닥에는 미끄럽지 않도록 매트 등을 깔아야 하고 물기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변기와 욕조 옆에는 지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두는 것이 필요하고, 욕조 안 바닥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스티커 등을 붙여야 한다. 골절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육이나 뼈를 강화시키는 운동도 필수다. 겨울철이라고 실내에 웅크려 있으면 근육이나 뼈가 더 약해지기 때문이다. 박찬도 의정부 척병원 원장은 “골절 및 각종 심장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라도 운동은 필요하다. 노인들은 평소 운동량이나 근육량이 적기 때문에 집 안에서 손쉽게 할 수 있는 고정식 자전거타기나 근육 운동을 통해 근육량을 늘린 뒤 자신의 몸 건강 상태에 맞춰 본격적인 걷기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노인 엉덩관절 골절 회복 어려워
화장실·욕조 바닥 미끄럼 방지
문지방 없애고 전깃줄 정돈 필요 엉덩이 관절 골절 사고는 치명적 노인들의 골절 가운데 특히 엉덩이 관절의 골절은 10명 가운데 9명가량이 넘어져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제는 이 관절의 골절은 치료가 잘된 뒤에도 환자의 절반가량은 사고 이전에 견줘 정상적으로 걸을 수 없게 되고, 사고 뒤 1년 안에 사망할 가능성도 25%나 된다. 서구에서는 폐경이 지난 여성들 7명 가운데 1명가량이 엉덩이 관절의 골절을 겪을 정도로 흔한 것으로 보고돼 있다. 실내외를 막론하고 넘어졌을 때 자주 생겨 사고 뒤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문지방 등 넘어질 만한 환경 치워야 실내에서 넘어져 생기는 골절 사고는 실내 환경을 잘 정비하면 예방이 상당 부분 가능해진다. 우선 자주 걸려 넘어지는 문지방은 가능하면 없애야 한다. 전기 기구의 전깃줄은 잘 정돈해서 발에 걸리지 않도록 해야 하며, 특히 이불이나 카펫 밑에 전깃줄을 감춰 두는 것은 금해야 한다. 무릎 높이보다 낮은 탁자나 잡지꽂이, 화분 등은 발에 잘 걸릴 수 있으므로 사람이 움직이는 통로에는 두지 않아야 한다. 침실의 경우 전화기는 쉽게 손에 닿는 곳에 두고 잠자리 근처에는 작은 조명을 켜 두는 것이 좋다. 화장실이나 욕실은 낙상 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곳이다. 바닥에는 미끄럽지 않도록 매트 등을 깔아야 하고 물기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변기와 욕조 옆에는 지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두는 것이 필요하고, 욕조 안 바닥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스티커 등을 붙여야 한다. 골절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육이나 뼈를 강화시키는 운동도 필수다. 겨울철이라고 실내에 웅크려 있으면 근육이나 뼈가 더 약해지기 때문이다. 박찬도 의정부 척병원 원장은 “골절 및 각종 심장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라도 운동은 필요하다. 노인들은 평소 운동량이나 근육량이 적기 때문에 집 안에서 손쉽게 할 수 있는 고정식 자전거타기나 근육 운동을 통해 근육량을 늘린 뒤 자신의 몸 건강 상태에 맞춰 본격적인 걷기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