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병원, 60살 이상 조사
하루에 5시간 이상 앉아 있는 남성 노인은 비만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양현 고려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2013 국민건강영양조사’ 가운데 60살 이상 노인 1565명(남 656명, 여 906명)의 자료를 분석했더니, 하루 5시간 이상 앉아 있는 남성 노인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견줘 비만에 빠질 위험이 1.54배 높았다고 11일 밝혔다. 하지만 여성 노인은 앉아 있는 시간과 비만과의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 비만 기준은 몸무게(㎏)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인 체질량지수가 25 이상이거나 허리 둘레가 남성은 90㎝ 이상, 여성은 85㎝인 경우로 정했다.
소득이나 교육 수준을 고려해 앉아 있는 시간과 비만의 관계를 분석했더니 그 관련성이 더욱 뚜렷해졌다. 하루에 5시간 이상 앉아 있으면서 소득 수준 하위 25%에 속하는 남성 노인은 소득 상위 25%에 속하면서 5시간 미만 앉아 있는 경우보다 비만일 가능성이 1.8배 높았다. 여성 노인도 초등학교 졸업 이하면서 하루 5시간 이상 앉아 있으면 중학교 졸업 이상이면서 하루 앉아 있는 시간이 5시간 미만인 경우보다 비만일 가능성이 1.24배 높았다.
김양현 교수는 “앉아 있는 시간이 늘면 그만큼 신체활동이 줄어 총에너지 소비도 감소하기 때문에 비만이 될 가능성이 크다. 저소득층 노인일수록 많이 하는 여가가 텔레비전 시청인데, 이 때 몸에 좋지 않은 고칼로리 간식을 같이 먹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비만이 될 가능성이 더 커진다”고 말했다.
김양중 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