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가 간병 서비스까지 제공
현재 지방 중소병원 등 112곳서
상급종합병원 포함 전국 400곳으로
현재 지방 중소병원 등 112곳서
상급종합병원 포함 전국 400곳으로
간호사가 환자에게 간병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포괄간호 서비스)를 하는 병원이 4월부터 서울의 병원·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대학병원 등)으로 확대된다. 이에 따라 환자들의 간병비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는 현재 지방 중소병원 89곳과 공공병원 23곳 등 112곳에서 시행되고 있다.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2일 상급종합병원협의회, 국민건강보험공단, 대한병원협회, 전국 상급종합병원 관계자 등과 ‘2016년 주요 보건의료정책’을 공유하는 간담회에서 올해 4월부터 전국 상급종합병원과 서울에 있는 병원·종합병원도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애초에는 2018년부터 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었다. 정 장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상급종합병원이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병문안을 줄이는 개선을 통해 안전한 의료환경을 조성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올해 말까지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을 40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동에 입원하면 환자가 별도로 간병인을 구해 쓸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간병비 부담이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하루 약 2만원으로 줄어든다. 또 암 등 중증질환을 앓는 경우 산정특례를 받기 때문에 4천원가량으로 부담이 감소한다.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동에 입원하면 병실비가 하루 1만5천원(6인실)에서 2만3천원(4인실) 더 드나, 보통 8만원가량 하는 간병비에 견줘 보면 비용 부담이 크게 줄어드는 셈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메르스 유행 때 환자를 돌보던 간병인, 보호자 등이 많이 감염됐다. 의료기관의 감염 관리를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예정보다 더 빨리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를 확대하기로 한 것”이라며 “올해 말까지 총 400개 병원이 참여한다면 환자 2만여명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