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암환자 1269명 음주습관 조사
술마신 환자 가운데 27%는 ‘고위험 음주’
연구팀 “암 환자들에게 금주 치료 할 필요 ”
술마신 환자 가운데 27%는 ‘고위험 음주’
연구팀 “암 환자들에게 금주 치료 할 필요 ”
암에 걸리기 전 술을 마신 암 환자 10명 가운데 6명은 암 투병 중에도 술을 계속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고현영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임상강사팀이 2007~2013년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암 진단을 받은 20살 이상 성인 1269명의 음주습관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암에 걸리기 전 술을 마셔본 경험이 있다고 답한 906명 가운데 60.3%에 해당되는 546명은 암 진단 이후에도 술을 마신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술을 끊었다는 암 환자는 360명(39.7%)이었다. 연구대상 1269명 가운데 평생 술을 마셔 본 경험이 없는 환자는 307명, 암 진단 이후 처음 술을 마셔 본 환자는 56명으로 집계됐다.
연구 결과 또 암으로 진단된 뒤에도 술을 마시는 환자 가운데 27.1%에 해당되는 148명은 ‘고위험 음주’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위험 음주는 한 번의 술자리에서 알코올량을 기준으로 남성은 60g, 여성은 40g 이상 마시는 경우를 말한다. 연구팀은 “암 환자들도 1~2잔 정도의 술은 괜찮다고 여기거나 사회생활로 어쩔 수 없이 음주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암에 걸린 이후에도 폭음을 하는 환자들이 상당수 있다는 사실은 앞으로 암 환자들에게 더 적극적으로 금주 치료를 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약물과 알코올 의존> 최근호에 실렸다.
김양중 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