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 타미플루 등에 대해 허가사항 변경 추진
특히 소아·청소년에서 과다행동이나 초조함 등 이상반응 나타나
특히 소아·청소년에서 과다행동이나 초조함 등 이상반응 나타나
인플루엔자 감염으로 항바이러스제인 타미플루를 먹은 일부 소아·청소년 환자가 경련 등 신경정신계 이상 반응을 보였다는 보고가 들어와 보건당국이 이 약의 허가사항을 변경하기로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플루엔자 치료제인 타미플루에 대한 안전성·유효성 심사결과 등을 반영해 효능·효과, 사용상 주의사항 등 허가사항을 바꿀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이에 대한 의견은 5월 2일까지 수렴해 시행할 계획이다.
식약처의 설명을 보면 이 약을 먹은 인플루엔자 환자 가운데 주로 소아·청소년 환자에게서 경련이나 섬망과 같은 신경정신계 이상 반응이 보고됐다. 섬망은 안절부절하지 못하거나 소리를 지르는 등 과다 행동이 나타나고, 환각이나 초조함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이런 이상 반응이 이 약을 먹어서 나타난다는 인과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식약처는 “비록 약물 복용과 이상 행동과의 인과관계가 뚜렷하게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예방과 주의 당부 차원에서 허가사항을 변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식약처가 성일종(자유한국당)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타미플루 부작용 신고 건수는 2012년 55건에서 2016년 257건으로 크게 늘었다. 부작용 증상은 구토가 215건으로 가장 많았고 오심 170건, 설사 105건이었다. 어지러움과 소화불량도 각각 56건과 44건 있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11살 남자 아이가 타미플루를 먹은 뒤 이상 증상으로 21층에서 추락해 숨지면서 의약품 피해구제 보상금이 지급된 바 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