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의대 교수팀, 50살 이상 약 8300명 조사
관절의 노화로 겪게 되는 ‘골관절염’이 있으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자살 충동 위험도가 최대 2배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9일 송관규·최성재·정재현 고려대의대 류마티스내과 교수팀이 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50∼99살 8271명을 대상으로 골관절염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남성의 경우 골관절염이 있으면 그렇지 않은 사람에 견줘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 충동 위험도가 각각 1.6배, 1.5배, 2배였다. 여성은 골관절염이 있으면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 충동 위험도가 각각 1.4배, 1.3배, 1.5배로 남성보다는 다소 낮았다. 골관절염을 앓는 남성이 여성보다 정신건강이 더 나빠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번 연구에서 골관절염을 앓는 비율은 여성이 19.1%로 남성의 5.6%보다 3.4배였다. 여성들이 골관절염을 더 많이 앓는 이유는 폐경 뒤 연골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여성호르몬의 분비량이 적어지면서 남성보다 빨리 연골이 약해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골관절염을 앓는 대부분의 환자가 관절의 통증을 나이가 들면서 당연히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커 치료를 미루고 방치함으로써 질환이 더 나빠진 것으로 보인다”며 “이와 같은 관절염의 방치와 악화가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관절염저널> 최근호에 실렸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